‘불확실성의 시대’…작년 국가신용등급 강등 7년래 최다

‘불확실성의 시대’…작년 국가신용등급 강등 7년래 최다

입력 2017-01-22 11:46
수정 2017-01-22 1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하향 94건, 상향은 30건 불과…국제금융센터, 무디스·S&P·피치 3개 신평사 조정 분석

지난해 전 세계적인 정치·경제의 불안으로 인해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당한 사례가 급격히 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유럽의 정치불안에다 글로벌 경기 침체,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신흥국 취약성 확대 등이 겹치면서 어느 때보다 국제금융시장의 취약성과 불안감이 커진 탓이다.

22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무디스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 등 3개 국제신용평가회사가 작년 한 해 동안 국가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한 건수는 94건(76%)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인 2015년의 60건보다 56.7%나 급증한 것이다.

국제금융센터가 자료를 보유한 2010년부터 보면 연간 하향조정 건수는 작년이 가장 많다.

반대로 작년에 국가신용등급이 올라간 건수는 30건(24%)에 불과했다.

신용등급 하향 건수를 분기별로 보면 작년 1분기 27건, 2분기 35건에서 3분기엔 19건으로 줄었고 4분기엔 13건으로 축소되는 등 ‘도미노 강등’ 추세는 점차 진정되는 분위기다.

작년 4분기 말 현재 최고등급(AAA·Aaa)을 유지한 국가는 전 분기와 같은 13개국이었다.

2개 이상의 신용평가회사로부터 투자적격 등급을 받은 국가는 전체 등급 부여국의 44%(65개국)였다.

작년 4분기만 보면 투자적격 등급(BBB이상·무디스기준 Baa) 내에서 등급 상향조정은 3건, 하향조정은 2건으로 비슷했지만, 투기등급에서는 하향조정이 11건으로 상향조정(6건)의 2배에 육박했다.

특히 경상수지 악화와 유동성 경색 등으로 신용위험이 커진 몽골과 모잠비크는 등급이 2차례나 강등됐다.

지역별로는 과거 재정위기를 경험한 유럽 국가들이 자본통제 철폐와 은행권 구조개혁에 착수하면서 상향조정 4건을 기록했다.

반면 남미는 유동성 위험과 함께 미국 고립주의의 부정적 영향에 노출되면서 하향조정만 6건에 달했다.

국가신용등급 전망은 작년 4분기 말 현재 긍정적 전망이 3분기 말보다 5개국 줄어든 15개국이었고 부정적 전망은 3분기 말과 같은 58개국이었다.

국제금융센터는 앞으로 글로벌 공급체인이 약해지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취약국을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 대통령선거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등으로 미국의 경제정책 기조가 변하면서 구조개혁이 늦어지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영국의 브렉시트와 프랑스 대선, 독일 총선 등 유럽 주요국 선거를 앞둔 정치불안도 주시해야 할 위험요인이다.

국제금융센터는 “취약한 신흥국의 구조개혁이 지연되면 이는 성장전망 하향조정과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대외건전성 악화 등의 경로로 신용위험을 가중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트럼프 당선...한국에는 득 혹은 실 ?
미국 대선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엎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 됐습니다. 트럼프의 당선이 한국에게 득이 될 것인지 실이 될 것인지에 대해 말들이 많은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득이 많다
실이 많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