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소비자물가 2.0%↑…서민연료 등유 16% 급등

11월 소비자물가 2.0%↑…서민연료 등유 16% 급등

강경민 기자
입력 2018-12-04 09:28
수정 2018-12-04 09: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두달째 2%대 상승…도시가스 인하 효과 사라져 유류세 인하 영향 상쇄

유류세 인하로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 가격이 내렸지만, 지난해 도시가스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전체 물가가 두 달 연속 2%대 상승을 기록했다.

특히 서민 연료인 등유는 유류세 인하 대상에서 빠지며 6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18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73(2015년=100)으로 작년 11월보다 2.0% 상승했다.

12개월째 1%대를 유지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 10월 2.0%로 2%대에 올라선 데 이어 11월에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이상 연속으로 2%대를 유지한 것은 작년 7∼9월 이후 처음이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농산물이 14.4% 상승해 전체 물가를 0.60%포인트 끌어 올렸다.

토마토(44.4%), 파(35.6%), 쌀(23.8%) 등의 상승이 가팔랐다.

다만 축산물은 1.5% 하락했다. 달걀(-14.3%), 돼지고기(-4.4%) 등의 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

공업제품은 1.5% 올라 전체 물가를 0.47%포인트 높였다.

10월(2.0%)보다는 상승 폭이 줄었다. 통계청은 일부 유류세 인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했다.

석유류는 6.5% 올라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 높였다. 역시 10월(11.8%)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다.

휘발유·경유 가격 상승률은 전월보다 둔화했지만 등유는 16.4%나 올랐다. 등유 가격 상승률은 2011년 12월 19.0%를 기록한 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보다 1.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06%포인트 끌어 올렸다. 작년 10월∼올해 10월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도시가스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개인서비스요금은 2.5% 올라 전체 물가를 0.79%포인트 높이는 효과가 났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유류세 인하 효과가 일부 있었지만 농산물과 서비스 물가 상승, 도시가스 인하 효과가 사라지면서 두 달 연속 2%대 물가 상승률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