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저축은행 올해 누적 순이익 1조 달성 전망
![시중은행 창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1/27/SSI_20191127150629_O2.jpg)
![시중은행 창구](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1/27/SSI_20191127150629.jpg)
시중은행 창구
서울의 한 시중은행 지점에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 내용과 전혀 관련 없음. 연합뉴스. 2019.11.27
11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대부계열인 OK저축은행은 3분기 292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올해 누적 순이익 747억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누적 순이익 731억원을 뛰어 넘는 역대 최고 기록이다. 대부계열인 웰컴저축은행의 올해 3분기 순이익은 282억원이다. 3분기까지 누적 순이익은 전년 514억원에서 올해 814억원으로 300억원(58.4%) 증가했다.
지난해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연 27.9%에서 24%로 인하되면서 대부계열 저축은행의 이자 수익도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또 지난 6월부터 제2금융권 가계대출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도입되면서 저축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졌지만, 실제로는 큰 이윤을 남긴 것이다.
대부계열 저축은행은 고금리 대출을 통해 이자 수익을 거뒀다. 이태규 바른미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OK·웰컴저축은행의 지난 6월 말 가계대출 금리는 20.4%다. 신한·KB저축은행 등 은행계열 저축은행 7개사 평균인 9.2%에 비해 11%포인트나 높다. OK·웰컴저축은행의 가계 신용대출 금리 역시 22.6%로 전체 저축은행 평균(20.2%)를 웃돌았다. 은행계열 저축은행의 평균 신용대출 금리는 16.7%다.
전체 대출 가운데 20%가 넘는 고금리로 돈을 빌려준 비중도 높았다. OK·웰컴저축은행의 6월 말 가계 신용대출 잔액 가운데 20% 이상 금리 대출 비중은 각각 79%, 66.7%로 집계됐다.
다른 저축은행들도 중금리 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린 영향 등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937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498억원)보다 10.3% 증가했다. 이 추세가 지속된다면 올해 누적 순이익 1조원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저축은행들이 예·적금 금리를 잇따라 낮추면서 평균 예금 금리가 연 2%대 초반으로 주저 앉았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평균 정기예금 금리(1년 만기)는 연 2.15%로 지난해 같은 기간 2.65%보다 0.5%포인트 떨어졌다.
저축은행 예금금리는 올해 6월 연 2.48%를 찍은 후 줄곧 하락세다. 같은 기간 적금 금리도 2.72%에서 2.57%로 내렸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매년 연말이면 저축은행들이 앞다퉈 출시하던 고금리 특별판매(특판) 상품도 올해는 자취를 감췄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