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내 가계부채 억제 촘촘한 감독망 구축
은성수 “코로나로 자영업자 피해 악화”
은성수 금융위원장.
뉴스1
뉴스1
은 위원장은 1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 등 5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간담회를 열어 가계대출 현황을 점검하고 잠재적 위험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은 위원장은 민간 부채의 증가 속도를 우려하면서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연내 5~6%)을 관리할 수 있게 감독망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금융지주 회장들에게는 선제적인 관리를 당부했다. 은 위원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실수요는 놔두고 억제할 방법이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지주 회장들과 이야기했고, 의견을 더 나눠 보기로 했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소상공인 대출 만기·이자 납입 유예 지원 연장에 대해 추가 논의를 이어 가기로 했다. 다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가라앉지 않는 데다 거리두기 장기화로 자영업자 피해가 커지고 있는 만큼 지원 연장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지난 6월 기준 전체 금융권의 소상공인 대출 지원 규모는 204조원에 이른다.
은 위원장은 “지금 결론을 내리기엔 이르다”며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효과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한 금융지주 회장은 “9월이면 코로나19 확산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봤지만, 오히려 6개월 전보다 상황이 더 심각해졌다는 공감대는 형성됐다”며 “여러 상황을 고려하면 아무래도 대출 만기나 이자 납입 유예 조치가 연장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금융권 일자리 문제도 논의됐다. 은 위원장은 금융지주사들이 올해 역대급 실적을 거둬 배당을 늘린 것을 거론하면서 고용 창출에도 힘써 달라고 요청했다. 은 위원장은 “금융권이 수익을 많이 내고 배당도 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것”이라며 “이에 맞춰 사회에서 기대하는 부분은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늘려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1-08-11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