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품귀 사태가 심각했던 지난달 인천 시내의 한 주유소에 놓여 있는 요소수 품절 안내문.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미국, 중국 등 9개국 해외 상무관과 코트라 무역관장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점검회의를 열고, 우선관리품목에 대한 생산능력과 수급 동향 심층 조사, 모니터링 강화 등을 논의했다. 최근 중국 시장 동향 점검을 통해 일부 품목이 현지 수요 증가나 공장 가동 중단 등으로 수급 불안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지면서 요소수 품귀 사태와 같은 일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어서다.
앞서 정부는 요소수 품귀 사태 이후 대외 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로 하고, 4000여개 품목에 대해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조기경보시스템을 가동하기로 했다. 특히 대외 의존도 비중이 크고 주력산업에 활용되는 마그네슘, 텅스텐, 네오디뮴 등 20개 품목은 우선관리품목으로 선정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품목 의존도가 높은 지역의 무역관 등이 우선관리품목의 가격, 수급, 현지 업계 동향, 수출국 정부 정책 등을 담은 ‘핵심품목 관리카드’를 매주 산업부 등에 보고하기로 했다.
아울러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관련해선 우리나라가 57개국과 구축한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를 활용해 공급망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방안이 언급됐다. 글로벌 공급 병목 현상이 내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주요국 간 공동 대응 필요성도 제기됐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공급망 안정화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급망 연대·협력 파트너국을 선별해 전략적 협력을 추진하고, FTA 등 기존 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유정열 코트라 사장도 “코트라 내 글로벌 공급망 대응센터를 운영하는 등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힘쓰겠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