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전국 최종소비 증가율 -2.3%
GRDP -0.8%… 외환위기 후 첫 마이너스
경북 -6.6%·광주 -6%… 민간소비 감소
제조업 많은 경남 1인당 개인소득 ‘꼴찌’
코로나19가 발생한 지난해 공무원이 많은 세종과 제자리걸음을 한 충북 외에는 모두 소비가 감소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12곳은 경제가 역성장했다.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지역소득(잠정)’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전국 최종소비(민간소비+정부소비) 증가율은 -2.3%(2019년 대비)를 기록했다. 정부소비가 5.2% 늘었지만 민간소비가 5.0% 줄면서 마이너스를 피하지 못했다. 정부소비가 많았던 세종(4.7%)과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한 충북(0.0%)을 제외하곤 모두 소비가 2019년보다 뒷걸음질쳤다. 서울(-3.6%)이 가장 크게 줄었고, 광주(-3.4%)·부산(-3.1%)·대구·울산(이상 -2.9%) 등도 감소폭이 컸다. 민간소비만 놓고 봤을 땐 경북(-6.6%)과 광주(-6.0%)가 특히 크게 감소했는데, 오락·문화와 음식·숙박 소비 위축이 원인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전국 지역내총생산(GRDP) 실질성장률은 -0.8%를 기록했다. GR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외환위기 때인 1998년(-4.6%) 이래 처음이다. 17개 시도 중 12곳이 역성장했는데, 자동차 등 제조업 도시 울산(-7.2%)과 국내 대표 관광지 제주(-6.6%)의 하락폭이 컸다. 플러스 성장에 성공한 곳은 세종(5.1%)과 충북(1.3%) 등 5곳에 그쳤다. 1인당 GRDP는 3739만원으로 2019년보다 0.3% 증가했다. 울산(6020만원)이 가장 많았고 충남(5172만원)과 서울(4586만원) 등도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1인당 개인소득은 1년 전보다 2.6% 늘어난 2120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2406만원)이 가장 높았고 울산(2356만원), 대전(2135만원) 등의 순이었다. 서울은 2017년 울산을 제치고 개인소득 1위 지역으로 올라선 뒤 4년간 자리를 지키고 있다.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적은 곳은 경남(1956만원)이었다. 김대유 통계청 소득통계과장은 “경남에서 산업 중 비중이 큰 제조업이 지난해 좋지 않았다”고 원인을 짚었다.
2021-12-2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