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MZ세대의 현황과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MZ세대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기준 46.9%로 절반에 달했다. 이에 따라 MZ세대가 차지하는 경제적 위상도 커졌지만, 40~60대 중장년층과 비교해 소득은 크게 늘지 않았다. 2018년 현재 MZ세대(현재 24∼39세)의 근로소득은 2000년 같은 연령(24∼39세)의 1.4배로 집계됐다. X세대(1965∼1979년생), BB세대(1955∼1964년생)의 근로소득이 2000년 같은 연령대의 1.5배, 1.6배인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이 크지 않다. 금융위기 이후인 2010년의 같은 연령대와 비교해도 2018년 현재 MZ세대의 근로소득 배수는 1.07로 X세대(1.08)나 BB세대(1.2배)보다 낮았다.
MZ세대의 금융자산도 2001∼2018년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영준 한은 미시제도연구실 연구위원은 “MZ세대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든 이후 처음으로 취직한 대졸 근로자로 다른 세대에 비해 낮은 임금을 받았다”며 “불황기에 취업한 만큼 근로소득 증가폭이 낮았고, 이 때문에 금융자산 축적을 위한 투자금도 부족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총부채의 경우 2018년 MZ세대가 2000년 같은 연령대의 4.3배에 육박했다. X세대·BB세대의 총부채가 2000년대 같은 연령대와 비교해 각각 2.4배, 1.8배 늘어난 것과 비교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이는 무엇보다 MZ세대가 내 집 마련을 위해 대출을 크게 늘린 영향이 크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에 따라 MZ세대의 금융자산 불평등도가 최근 들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크게 늘지 않고 빚만 늘면서 MZ세대의 총소비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거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