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부진에 수출금액 하락… 교역조건 19개월째 악화

반도체 부진에 수출금액 하락… 교역조건 19개월째 악화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2-11-30 17:52
업데이트 2022-12-01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수출액 2년 만에 내림세 전환
수입액은 23개월 연속 오름세
순상품교역지수 1년 새 7.4% ↓

이미지 확대
반도체 가격 하락 등의 여파로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금액지수가 2년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국제 유가 상승으로 수입금액지수는 10% 가까이 뛰어올랐다. 수출액은 줄고 수입액은 늘면서 교역 조건은 19개월째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10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달러 기준)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금액지수는 125.02로 전년 같은 달 대비 6.7% 하락했다. 2020년 10월(-3.4%) 이후 24개월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2020년 8월(-9.3%)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품목별로 자동차 등 운송장비는 19.6% 올랐지만 섬유·가죽제품(-19.0%), 1차금속제품(-16.2%), 화학제품(-14.1%), 컴퓨터·전자·광학기기(-13.0%) 등은 크게 하락했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수출금액은 반도체 등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제품과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줄었다”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가 원인”이라고 말했다. 수출물량지수는 116.43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3.4% 하락했다. 4개월 만에 하락 전환한 것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었던 2020년 8월(-3.7%)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10월 수입금액지수는 165.10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9.8% 올라 23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 갔다. 품목별로는 석유 등 광산품(28.6%), 운송장비(32.4%)와 같은 수입금액이 많이 늘었다.

수출 가격은 낮아지고 수입 가격은 오르면서 수출상품 한 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인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84.74로 전년 같은 달 대비 7.4% 하락했다. 19개월 연속 내림세다.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소득교역조건지수(98.66)는 전년 같은 달 대비 10.6% 하락해 9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 갔다. 소득교역지수가 기준점(100)을 밑돈 것은 2020년 5월(93.96)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김소라 기자
2022-12-01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