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 두 달 연속 하락…물가 정점 찍었나

생산자물가 두 달 연속 하락…물가 정점 찍었나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3-01-20 10:09
업데이트 2023-01-20 1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국은행 본관
한국은행 본관
유가와 환율이 하락한 영향으로 생산자물가가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생산자물가는 통상 한 달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월(120.29)보다 0.3% 낮은 119.96(2015년 수준 100)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0.3%) 이후 2개월째 내림세다.

다만,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는 생산자물가는 2021년보다 8.4%나 올랐다. 이는 2008년(8.6%) 이후 14년 만에 최고 상승률 기록이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1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

생산자 물가가 하락한 데는 전 달과 비교해 농림수산품(4.9%) 등이 올랐지만, 국제유가와 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공산품(-1%)이 떨어진 영향이 컸다.

특히 공산품 가운데 석탄·석유제품(-8.1%), 컴퓨터·전자·광학기기(-1.2%) 등의 하락 폭이 컸다.

서비스업 물가는 0.2% 올랐다. 음식점·숙박(0.6%)과 운송(0.2%) 관련 물가가 상승을 주도했다. 하지만 금융·보험은 0.3% 낮아졌다.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은 전력, 가스 및 증기(0.3%)가 올라 전월대비 0.3%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오이(75.0%), 호박(73.8%), 닭고기(6.5%), 커피음료(4.1%), 국제항공여객(5.2%) 등의 가격이 올랐다.

반면 경유(-15.2%), TV용 LCD(-5.0%), 노트북용 LCD(-5.0%) 등은 하락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 역시 전월 대비 1.6% 낮아졌다. 원재료, 중간재, 최종재 물가가 각 6.5%, 1.3%, 0.7% 하락했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한 12월 총산출물가지수도 11월보다 1.7% 내렸다.

서정석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식료품·전기·도시가스·석유제품 이외의 부분을 보면 상승세가 둔화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서 팀장은 “물가 경로에 있어서 상승 요인들이 잔존해 있고, 국내 경기변화나 국제유가, 환율의 움직임에 대해서 불확실성 남아 있어 그런 부분들을 주의해서 지켜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