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하반기 수출 개선되도 큰 폭 반등 어려워…다변화 필요”

한은 “하반기 수출 개선되도 큰 폭 반등 어려워…다변화 필요”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3-07-21 14:31
수정 2023-07-21 14: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2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하다. 연합뉴스
지난 2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하다. 연합뉴스
하반기 정보기술(IT) 경기 부진이 완화되더라도 우리나라 수출이 과거처럼 큰 폭으로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시장 내 우리나라 제품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등 근본적인 산업구조가 변화한 데 따른 것이다.

한국은행은 21일 발표한 ‘최근 우리 수출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하반기 이후 IT 경기 부진이 완화돼도 국가별 산업구조와 경쟁력 변화 등 구조적 요인 때문에 수출이 과거와 같이 큰 폭으로 반등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 우리나라 제품의 경쟁력 약화에 따른 점유율 하락이 구조적 요인으로 꼽혔다.

중국의 코로나19 관련 봉쇄 조치가 이어진 지난해 4∼12월과 비교해 올해 1∼4월 줄어든 대 중국 수출을 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감소분의 65%는 중국 자체 수요 변화에 따른 ‘경기적 요인’으로 분석됐다. 35%는 중국 내 점유율 하락과 관련된 ‘경쟁력 요인’ 때문이었다.

보고서는 또 최근 한국 수출이 품목·지역별로 차별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 등 IT 품목이 큰 폭의 감소세지만, 자동차·선박 등 일부 비 IT 품목은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최대 수출 품목도 반도체에서 자동차(부품 포함)로 바뀌었다.

지역별로는 대중국·아세안 수출이 부진한 반면 대미국·EU(유연합) 수출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대미국 수출 비중은 올해 상반기 중 17.9%로 확대돼 2020년(20.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대중국(19.6%)과의 격차가 1.7% 포인트까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특정 지역·품목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경제와 기업은 대외여건 변화에 취약할 수 밖에 없으므로 수출 다변화 유인이 높아졌다고 판단했다. 예를 들어 중국은 향후 소비시장으로서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중간재에 평중된 대중 수출구조를 최종재 등으로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