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테슬라 어제는 23% 폭등, 오늘은 7% 급락…그 다음은?

[재테크+] 테슬라 어제는 23% 폭등, 오늘은 7% 급락…그 다음은?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5-04-11 09:21
수정 2025-04-11 09: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UBS·골드만삭스 목표가 줄하향
“판매량 감소에 투자심리 악화”

이미지 확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AFP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AFP 연합뉴스


테슬라 주가가 하루 만에 급등과 급락을 오가며 심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촉발한 미·중 무역 갈등이 변동성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데요.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테슬라 주가의 롤러코스터와 같은 등락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10일(현지시간) 테슬라 주가는 전일보다 7.3% 하락한 252.40달러로 마감했으며, 연초 대비 38% 하락했습니다. 불과 하루 전인 9일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교역 파트너에 대한 고율의 추가 관세를 90일간 유보하겠다고 발표해 주가가 23% 올랐는데요. 이는 2013년 이후 최대 상승폭입니다.

단 하루 만에 투자 심리가 급변한 이유는 백악관이 중국 관세율로 125%가 아닌, 145%라는 명확한 수치를 밝혔기 때문입니다.

최근 들어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에 따라 급등락을 보였지만, 테슬라는 특히 변동성이 심했으며 올해만 19차례나 5% 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무역 협상을 어떻게 추진할지가 여전히 불확실한 가운데, UBS, 골드만삭스, 미즈호 등 투자은행들은 테슬라의 목표주가를 모두 내려 잡았습니다.

UBS는 “테슬라 주식이 변동성 속에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며 ‘매도’ 의견과 190달러의 목표주가를 제시했습니다.

테슬라는 브랜드 가치 하락과 판매량 감소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데요. 불매 운동 속에서 테슬라 차량을 겨냥한 범죄 행위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정부 지출과 연방 인력 감축 업무를 맡으면서 ‘본업은 뒷전이고 부업에만 열중한다’는 투자자들의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유럽에서는 독일 극우 성향 독일대안당(AfD)을 지지해 거센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습니다.

유럽자동차제조업협회(ACEA) 데이터에 따르면 1분기 테슬라 판매량은 유럽 전역에서 감소했습니다.

게다가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테슬라에 더 큰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회사는 중국, 멕시코 등지의 공급업체로부터 많은 부품과 재료를 조달하고 있으며, 유럽·아시아 전역에서 자동차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대량으로 제조하고 있습니다. 관세가 오르면 그만큼 비용이 치솟을 거란 뜻입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고 무역 고문인 피터 나바로에게 분노를 표출하며, 최근 소셜미디어(SNS)에서 “바보”이고 “벽돌 자루(a sack of bricks)보다 멍청하다”고 비난했습니다. 그러면서도 머스크는 중국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입장을 지지했죠.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2 / 5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