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애플의 ‘2차 대결’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각각 ‘갤럭시S’와 ‘아이폰4’ 등을 내놓고 스마트폰 시장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는 두 글로벌기업은 터치스크린으로 조작하는 태블릿PC 시장에서도 격돌을 앞두고 있다.
이들의 무기는 ‘갤럭시탭’과 ‘아이패드’. 특히 삼성전자는 이동성 면에서 뛰어난 갤럭시탭을 앞세워, 아이폰 못지않은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아이패드의 공세를 막아낸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
3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르면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SK텔레콤을 통해 태블릿PC 갤럭시탭을 출시할 예정이다. 김환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상무는 지난달 30일 2분기 사업설명회에서 “3분기 중 안드로이드 기반의 태블릿PC를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갤럭시탭은 지난 4월 출시된 아이패드보다 5개월 가까이 늦게 나오는 셈이다. 그만큼 아이패드의 기존 문제를 보완하는 형태로 출시될 가능성이 크다. 갤럭시탭의 큰 장점은 휴대 편의성. 24.6㎝(9.7인치)인 아이패드에 비해 작은 17.8㎝(7인치) 디스플레이를 장착했다. 들고 다니기에 크다는 아이패드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7인치 크기는 신문이나 잡지 등 콘텐츠를 쉽게 볼 수 있으면서도 무게는 더 가볍다. 아이패드에 없는 일반 통화와 영상통화 기능 역시 갤럭시탭에 포함될 전망이다.
또한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2.2 버전과 1기가헤르츠(㎓) 프로세서 등을 장착한다. 다만 예상과 달리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아몰레드·AMOLED) 대신 액정표시장치(LCD) 디스플레이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애플 아이패드 역시 국내 시판을 눈앞에 두고 있다.
김연학 KT 최고재무책임자(CFO·전무)는 최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아이패드를 포함해 4~5종의 태블릿PC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9월 출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아이패드는 스마트폰과 넷북에 사장될 위기에 처했던 태블릿PC의 부흥을 이끌어낸 주역이다. 지난 4월 출시 초반 ‘아이폰의 확대판’이라는 비아냥도 있었지만 6월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327만대나 팔려나갔다. 9.7인치 디스플레이와 1㎓ 프로세서 등을 갖췄다. 1만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국내에서는 아이패드의 공식 출시가 외국에 비해 지연되면서 개인 간 거래 가격이 치솟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미국 등에서 500달러(60만원)선인 아이패드는 국내 중고제품 거래 사이트에서 두배 가까운 100만원에 육박한다. 그만큼 대기 수요가 상당하다는 뜻이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앞으로 전국 초등학교에서 태블릿PC를 활용하고, 기업고객 규모도 확대되는 등 국내 태블릿PC 시장의 미래는 상당히 밝다.”면서 “결국 어느 제품이 독점적으로 한글 간행물 등 읽을거리를 많이 제공하느냐가 초반 승부를 가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각각 ‘갤럭시S’와 ‘아이폰4’ 등을 내놓고 스마트폰 시장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는 두 글로벌기업은 터치스크린으로 조작하는 태블릿PC 시장에서도 격돌을 앞두고 있다.
3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르면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 SK텔레콤을 통해 태블릿PC 갤럭시탭을 출시할 예정이다. 김환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상무는 지난달 30일 2분기 사업설명회에서 “3분기 중 안드로이드 기반의 태블릿PC를 내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갤럭시탭은 지난 4월 출시된 아이패드보다 5개월 가까이 늦게 나오는 셈이다. 그만큼 아이패드의 기존 문제를 보완하는 형태로 출시될 가능성이 크다. 갤럭시탭의 큰 장점은 휴대 편의성. 24.6㎝(9.7인치)인 아이패드에 비해 작은 17.8㎝(7인치) 디스플레이를 장착했다. 들고 다니기에 크다는 아이패드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다. 7인치 크기는 신문이나 잡지 등 콘텐츠를 쉽게 볼 수 있으면서도 무게는 더 가볍다. 아이패드에 없는 일반 통화와 영상통화 기능 역시 갤럭시탭에 포함될 전망이다.
또한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2.2 버전과 1기가헤르츠(㎓) 프로세서 등을 장착한다. 다만 예상과 달리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아몰레드·AMOLED) 대신 액정표시장치(LCD) 디스플레이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애플 아이패드 역시 국내 시판을 눈앞에 두고 있다.
김연학 KT 최고재무책임자(CFO·전무)는 최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아이패드를 포함해 4~5종의 태블릿PC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9월 출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아이패드는 스마트폰과 넷북에 사장될 위기에 처했던 태블릿PC의 부흥을 이끌어낸 주역이다. 지난 4월 출시 초반 ‘아이폰의 확대판’이라는 비아냥도 있었지만 6월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327만대나 팔려나갔다. 9.7인치 디스플레이와 1㎓ 프로세서 등을 갖췄다. 1만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국내에서는 아이패드의 공식 출시가 외국에 비해 지연되면서 개인 간 거래 가격이 치솟는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미국 등에서 500달러(60만원)선인 아이패드는 국내 중고제품 거래 사이트에서 두배 가까운 100만원에 육박한다. 그만큼 대기 수요가 상당하다는 뜻이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앞으로 전국 초등학교에서 태블릿PC를 활용하고, 기업고객 규모도 확대되는 등 국내 태블릿PC 시장의 미래는 상당히 밝다.”면서 “결국 어느 제품이 독점적으로 한글 간행물 등 읽을거리를 많이 제공하느냐가 초반 승부를 가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8-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