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자판·휴대전화 충전단자 등 ‘제자리’
정부와 정보기술(IT) 업계가 규격 표준화 문제로 새삼 골머리를 앓고 있다. 최근 ‘스마트 기기’는 쏟아지는데, 표준화 작업은 제자리걸음이어서 소비자 혼란과 자원 낭비가 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2007년 20핀으로 정해진 휴대전화 충전단자의 표준규격이 다시 흔들리고 있다. 왼쪽부터 24핀, 20핀, 마이크로USB, 애플 아이폰용 충전단자.
각 업체 제공
각 업체 제공
●중국의 한글공정에 뒤늦게 재개
얼마 전 논란이 되었던 것은 모바일기기의 한글자판 문제. 1995년 관련 논의가 시작됐지만 업체별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려 15년 동안 별다른 진전이 없다가, 중국의 이른바 ‘한글 공정’ 사업이 알려지면서 정부가 뒤늦게 표준화 작업을 재개했다. 한글의 표준화 규격을 중국에 내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의 충전단자 표준화 규격은 어렵게 정해 놓고도 다시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2007년 휴대전화 충전단자 표준 규격을 기존 ‘24핀’에서 ‘20핀’으로 정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마이크로USB’를 채용한 외국산 스마트폰들이 대거 들어오고 국내 제조사들도 스마트폰 제조에 뒤따라 마이크로USB 규격을 채택하면서 20핀 규격이 흔들리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마이크로USB를 요구하는 해외 이동통신사를 위한 수출용과 국내용 생산라인을 별도로 운영하면 생산업체로선 비용 증가의 부담이 있다.”고 말했다.
또 애플 아이폰은 20핀이나 마이크로USB와 다른 별도의 자체 규격을 쓰고 있다. 게다가 국내 제조사들이 20핀 충전기를 보급하는 대신 24핀 충전기와 호환할 수 있는 젠더를 보급하면서 결국 국내 충전단자의 규격은 24핀, 20핀, 마이크로USB, ‘아이폰용’이 혼재하고 있는 양상이다.
휴대전화 핸즈프리용 이어폰 단자도 마찬가지다. TTA가 20핀을 표준으로 채택한 이유는 기존 24핀보다 작은 크기의 20핀 하나로 충전, PC 연결, 핸즈프리용 이어폰까지 한번에 할 수 있었기 때문인데 흔히 쓰는 이어폰 단자인 ‘3.5파이’ 규격을 탑재하는 제품이 늘어나면서 이마저도 소용없게 됐다.
표준화 작업이 지지부진한 가장 큰 이유는 각 업체별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애초에 표준 규격이라는 것이 강제가 아닌 합의사항인 데다 기술개발 투자비용, 특허권, 고객 충성도 등 각자의 이익이 달려 있기에 업체들은 자사 규격을 고집하고 있다.
●신기술 등 쏟아져 대응 어려워
국내 표준이 합의되더라도 휴대전화 충전단자의 사례처럼 시장에서 국제 표준이 통용되지 않으면 무의미하다. 이렇게 표준화에 이르기까지 과정이 더딘 반면 하루가 멀다하고 신기술, 신제품이 쏟아지는 IT 산업 특성도 표준화를 어렵게 만드는 데 한몫 하고 있다.
김종오 기술표준원 연구사는 “제품의 이권이 생기기 전에 기술개발 단계에서 선제적으로 표준을 정하거나 제품 개발과 함께 표준화를 병행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10-18 1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