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신개념 3D TV 선보인다

LG 신개념 3D TV 선보인다

입력 2010-12-22 00:00
수정 2010-12-22 00: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패널 편광방식 제품 내년 출시 삼성·소니와 시장 대결 ‘주목’

LG전자가 차세대 3D(입체영상) 패널인 ‘필름패턴 편광안경 방식’(FPR)을 적용한 신개념 3D TV를 출시하기로 하면서 그동안 삼성전자, 소니 등이 주도해 온 3D TV 시장에 판도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내년 1분기에 LG디스플레이가 최근 개발한 FPR 방식을 적용한 3D TV 제품들을 출시하기로 했다. 기존 편광안경 방식 기술을 업그레이드한 이 패널은 셔터안경(SG) 방식의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깜빡거림과 화면겹침 현상을 없앴다.

특히 편광안경 방식의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던 가격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지금까지는 일본에서 들여온 고가의 유리 필터를 사람이 직접 디스플레이에 붙여 패널을 만들어냈다. 하지만 최근 LG화학이 유리 필터를 대체할 저가형 필름을 양산하면서 오히려 SG 방식보다도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됐다는 게 LG 측의 설명이다.

올해 세계 가전업계에는 본격적으로 3D 액정표시장치(LCD) TV가 출시되면서 셔터안경-편광안경 방식 간 우열경쟁이 시작됐다. 하지만 삼성전자와 소니를 비롯한 주요 TV 제조사들이 잇따라 셔터 방식을 채택하면서 압도적인 우위를 보여왔다. 사실상 유일하게 편광 방식의 3D TV를 생산해 온 LG전자까지도 셔터 방식을 적용한 TV를 만들면서 3D TV의 기술 논쟁은 마무리되는 듯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중국의 6대 TV 메이커뿐만 아니라 비지오, 도시바, 필립스 등 글로벌 업체들까지도 LG전자의 ‘FPR’ 진영에 가세하면서 삼성전자·소니 진영과 ‘해볼 만한 싸움이 됐다.’는 게 LG의 판단이다.

LG전자 관계자는 “과거 VTR 시장을 놓고 VHS와 베타 방식이 대결을 벌였듯이 3D TV 시장에서도 SG 방식과 FPR 방식이 사활을 건 대결을 펼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LG전자의 재도전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자세다. 이미 세계 주요 업체들이 SG 방식을 기술표준으로 채택한 데다, 새로 LG 진영에 가세한 업체들의 글로벌시장 점유율 또한 크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TV의 생명은 화질인데 편광 방식 3D TV는 화질의 선명도가 셔터글라스 방식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어느 기술이 우수하느냐에 대한 최종 판단은 소비자들이 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12-2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