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형 지능정보기술연구원장
소프트웨어 경쟁력 확보 절실외우기식 교육 빨리 바뀌어야
“‘인공지능으로 바꿔 가는 미래’는 이미 와 있습니다. 단지 우리가 모르고 있을 뿐입니다.”
김진형 지능정보기술연구원장이 22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2회 지역경제 활성화 전국 순회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부산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부산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인공지능의 예로는 IBM이 2011년 개발한 ‘왓슨’, 금융정보 분석 프로그램 ‘켄쇼’ 등을 들었다. 왓슨은 60만건의 진단서, 200만쪽의 전문서적 등을 학습해 폐암 진단에서 90%의 정확도를 보였다. 의사의 정확도가 50%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서 사용 중인 켄쇼는 기업 공시, 회계정보, 뉴스 등을 분석해 투자전략을 즉각 제시하는 등 50만 달러의 연봉을 받는 전문 애널리스트가 40시간에 걸쳐 하는 작업을 몇 분 만에 해낸다.
김 원장은 앞으로도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이 인간의 삶을 크게 바꿔 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기 기저귀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습도를 확인하고 교체 시기가 되면 스마트폰으로 알려주는 제품도 머지않아 도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인공지능은 소프트웨어를 맛있게 하는 양념인데 소프트웨어가 갖춰지지 않으면 맹물에 양념을 넣는 것과 같다”면서 “소프트웨어 중심사회에 맞게 교육도 바뀌어야 한다. 한없이 외우고 찍는 식의 교육은 빨리 중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4차 산업혁명이 우리에게 기회가 될 수 있을까”란 질문을 던지며 “지금까지 한국은 준비를 안 했다. 갑자기 뛰쳐나온다고 성공할 수는 없다. 소프트웨어 친화적인 문화를 먼저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6-11-2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