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21/SSI_20221021160038_O2.png)
![SK㈜ C&C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21/SSI_20221021160038.png)
SK㈜ C&C 제공.
SK C&C는 21일 “화재와 함께 비상경보등과 사이렌이 울렸고 오후 3시 19분 화재 발생 4분 만인 3시 23분에 판교 데이터센터 현장에 있는 카카오를 포함한 고객사 직원들에게 화재를 알리며 대피시켰다”며 “주요 통화 내용은 전화 앱 자동 녹음 기능에 따라 파일이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SK C&C는 이날 경기 성남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직후 카카오 측 관계자와 통화한 기록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이들은 오후 3시 35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관계자, 오후 3시 37분 카카오 관계자, 오후 3시 41분 카카오페이 관계자와 통화했다.
이에 따르면, 카카오 각 계열사 직원들은 서버 장애 발생의 원인을 문의했고, SK C&C는 “화재 경보가 발생했으며 확인하고 있다”고 답했다.
SK C&C는 이 같은 통화 후 “소방 관계자로부터 ‘물’을 사용한 소화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을 들은 후 고객사와 통화했다”고 했다. 전체 서버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전 이를 안내했다는 것이다.
SK C&C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이들은 오후 4시 40분 카카오 관계자, 오후 4시 42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관계자, 오후 4시 43분 카카오페이 관계자와 통화했다.
이에 따르면, SK C&C는 카카오 각 계열사 관계자들에게 “소방 관계자로부터 화재 진압 시 물 사용과 전원 차단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듣고 고객사에게 전원 차단에 대해 알리고 협의했다”고 말했다.
![SK㈜ C&C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21/SSI_20221021160056_O2.png)
![SK㈜ C&C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21/SSI_20221021160056.png)
SK㈜ C&C 제공.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영식 국민의힘 의원이 전날 카카오와 SK C&C에서 각각 제줄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날 판교 데이터센터 A동 지하 3층 전기실 배터리에서 불이 난 것은 오후 3시 19분이다.
이후 3분 만인 3시 22분 소화 설비가 작동했다. 김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는 5분 뒤인 3시 27분에 인프라에 장애가 생겼다는 것을 인지했다. 이어 3시 33분, SK C&C는 카카오를 포함한 고객사들에 서비스 장애가 빚어진 것을 확인하고, 비상 연락망을 통해 고객사들에 화재 발생 상황을 공유했다.
그러나 카카오는 이로부터 30분 뒤인 4시 3분에야 SK C&C에 먼저 연락해 화재 발생 사실을 알았다고 반박하고 있다. 화재 사실을 인지하기 전인 3시 52분에 카카오는 이용자들에게 서비스 장애를 공지했지만, 그 이유는 몰랐다는 것이다.
양측의 주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경기분당경찰서는 이날 오전 10시 10분부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 C&C 판교캠퍼스 사무실 등 2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