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쇼츠’ 공세에… 네·카 맞불

유튜브 ‘쇼츠’ 공세에… 네·카 맞불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4-04-08 23:49
업데이트 2024-04-08 2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바일 다음에 쇼트폼 탭 개설
네이버는 ‘클립’ 기능 고도화
“유튜브 아성 꺾기에는 한계”

이미지 확대
최대 1분 길이의 짧은 동영상이 끊임없이 재생되는 유튜브 ‘쇼츠’의 파급력이 점차 강해지고 있다. 카카오와 네이버 등 국내 빅테크도 쇼트폼 강화를 위해 전열을 가다듬고 있지만 유튜브를 넘어서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8일 빅데이터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모바일 유튜브 이용 시간은 모두 19억 623만 시간으로 카카오톡(5억 4814만 시간)이나 네이버(3억 5683만 시간) 대비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는 지난해 12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4565만명을 기록하며 카카오톡(4554만명)을 넘어선 후 4개월 연속 1위 자리를 내주지 않고 있다. 유튜브의 최근 성장세는 쇼츠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유튜브에 따르면 지난해 7월 국내 유튜브 쇼츠 일평균 조회수는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유튜브에 로그인해 쇼츠를 보는 이용자 수도 40% 이상 늘었다.

이를 겨냥한 듯 카카오는 최근 포털 다음 운영에 방점을 뒀던 ‘다음 CIC(사내독립기업)’를 ‘콘텐츠CIC’로 개편했으며 모바일 다음에 쇼트폼 탭을 신설했다. 유튜브 쇼츠와 마찬가지로 이용자들이 화면을 위아래로 스크롤하며 ‘오늘의 숏’ 영상을 끊임없이 시청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유튜브 쇼츠처럼) 기존 영상의 일부분을 자른 게 아닌 최대 1분 길이의 완성된 고퀄리티 영상을 추구하는 것이 차별점”이라고 부연했다.

네이버도 지난달 21일 자체 쇼트폼 콘텐츠인 ‘클립’의 편집과 탐색 기능 고도화에 나섰다. 네이버TV와 블로그의 창작자는 클립 에디터를 통해 이전보다 더 섬세하게 영상을 편집할 수 있으며 추천 음원 사이트에서 영상에 어울리는 음원을 선택해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양사의 개편이 유튜브의 아성을 꺾는 덴 한계가 있을 거란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는 “누구나 쇼트폼을 제작해 게재할 수 있는 유튜브와 달리 국내 빅테크는 콘텐츠의 수위와 퀄리티 등을 조절하기 위해 게재 권한을 일부 제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유튜브의) 경쟁 상대가 되기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민나리 기자
2024-04-09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