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청어 어획량은 늘고 꽁치 어획량은 급감하면서 청어 과메기가 대세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2일 이마트가 밝혔다.
3년 전부터 과메기 시장에서 청어 비중은 계속 커지고 있다. 이마트에서 2016년 이전 전체 과메기 판매량 중 청어 과메기는 약 10%였지만 2017년에는 30%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46%까지 증가했다.
1960년대 말까지 과메기는 주로 청어를 건조해 생산됐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국산 청어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어 꽁치로 대체됐다. 최근 들어선 반대로 국내산 꽁치 어획량이 급감해 다시 청어 과메기를 먹는 추세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국산 청어 생산량은 전년 대비 14% 증가했지만 꽁치는 원양산과 수입산을 합쳐도 23.6% 감소했다. 꽁치는 어획량이 줄면서 크기도 작아졌다. 보통 과메기는 125g 이상 꽁치를 건조해 만들지만 현재 생산되는 꽁치는 100g 내외 크기다.
이마트 관계자는 “‘과메기’는 전통적인 자연건조식품으로, 청어, 꽁치 등을 구룡포, 영덕에서 해풍에 말려 생산된다”며 “올해는 꽁치 생산량 감소로 이마트에서 청어 과메기가 처음으로 꽁치 과메기 판매량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3년 전부터 과메기 시장에서 청어 비중은 계속 커지고 있다. 이마트에서 2016년 이전 전체 과메기 판매량 중 청어 과메기는 약 10%였지만 2017년에는 30%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46%까지 증가했다.
1960년대 말까지 과메기는 주로 청어를 건조해 생산됐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국산 청어 어획량이 크게 줄어들어 꽁치로 대체됐다. 최근 들어선 반대로 국내산 꽁치 어획량이 급감해 다시 청어 과메기를 먹는 추세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국산 청어 생산량은 전년 대비 14% 증가했지만 꽁치는 원양산과 수입산을 합쳐도 23.6% 감소했다. 꽁치는 어획량이 줄면서 크기도 작아졌다. 보통 과메기는 125g 이상 꽁치를 건조해 만들지만 현재 생산되는 꽁치는 100g 내외 크기다.
이마트 관계자는 “‘과메기’는 전통적인 자연건조식품으로, 청어, 꽁치 등을 구룡포, 영덕에서 해풍에 말려 생산된다”며 “올해는 꽁치 생산량 감소로 이마트에서 청어 과메기가 처음으로 꽁치 과메기 판매량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