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보금자리지구 어떤 곳
3차 보금자리주택 5개 지구는 서울 1곳, 인천 1곳, 경기 3곳에 자리했다. 서민주택 수요가 많은 곳(서울 항동, 인천 구월), 그린벨트 훼손으로 대규모 개발이 필요한 곳(광명·시흥), 강남권 수요를 보완하는 곳(하남 감일, 성남 고등) 등 선정 이유도 제각각이다.3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10월 이후 사전예약이 실시될 3차 보금자리지구의 분양가는 주변시세 대비 50~70%인 3.3㎡당 800만~1000만원이 될 전망이다. 전반적인 경쟁률도 낮아질 것으로 점쳐진다.
서울 강남권이 대상지에서 빠진 만큼 4월 실시될 우면·내곡·세곡 등 2차 지구로의 ‘청약 쏠림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들 보금자리주택의 열기가 식지 않아 기존 주택시장은 당분간 침체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분양가 3.3㎡당 800만~1000만원
5개 지구 중 하남 감일과 성남 고등지구는 강남 대체수요를 겨냥한 곳이다. 3차 지구 중 가장 높은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이지만 강남권인 우면·세곡·내곡 등 2차지구보다는 접근성이 떨어진다.
하남 감일지구는 위례신도시와 불과 1㎞ 떨어져 있다. 서울외곽순환도로, 지하철 5호선 마천역 등이 가깝다. 성남 고등지구는 인릉·청계산 등과 연계된 중·저밀도 단지로 개발된다. 수서와 판교신도시 사이에 자리하며 분당~내곡 고속화도로, 용인~서울 고속도로 등과 가깝다. 위례신도시(3.3㎡당 1190만~1280만원)와 강남 세곡(1150만원)의 보금자리주택 분양가를 고려하면 예상 분양가는 1000만원 안팎이다.
광명·시흥지구는 부지면적이 1736만 7000㎡로 사실상 신도시급이다. 3차 지구 전체 면적의 82%에 해당한다. 일산신도시(1574만㎡)보다 크고 분당신도시(1964만㎡)보다 작다. 9만 5000가구의 주택 가운데 6만 9000가구가 보금자리주택으로 지어진다. 부지 면적이 큰 만큼 3~4차례에 걸쳐 분양되는데, 10월 이후 3차 분양에선 2만 2000가구의 보금자리주택이 공급된다.
광명KTX역과 가깝고 제2경인고속도로, 서울외곽순환도로, 지하철 7호선 인근이다. 제3경인고속도로도 개통될 예정이다. 2007~2008년 분양한 인근 임대·공공아파트가 3.3㎡당 990만원선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예상 분양가가 3.3㎡당 900만~1000만원이다. 다만 닥터아파트 이영진 이사는 “광명은 기존 보금자리주택지구에 견줘 규모가 커 보상이 오래 걸릴 우려가 있고 시흥 일대는 편의·기반시설이 전혀 없는 게 약점”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구 내에 1970년대 폐광부지가 자리해 중금속 오염에 따른 토양 복원이 과제다. 지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군용철도는 위례신도시 내 군용 골프장처럼 막바지까지 혼선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특별공급 활용이 청약전략 관건”
스피드뱅크 박원갑 소장은 “신혼부부·생애최초 등 특별공급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청약전략의 관건”이라며 “정부는 민간주택과 보금자리 주택의 충돌을 막기 위해 (보금자리) 분양아파트보다 장기 임대아파트를 늘려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상도 윤설영기자 sdoh@seoul.co.kr
2010-04-0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