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부동산시장은 서울, 신도시 등 대부분 지역의 아파트 시세가 약간 오름세를 보인 가운데 수도권의 상승폭이 컸다.
국토해양부에서 발표한 11월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등 ‘바닥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사철을 거치면서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졌던 매매시장에서 최근 중대형 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늘고 있는 것도 눈에 띈다.
전문가들은 올해 말까지 적용되는 9억원 초과 주택의 취·등록세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해 대기수요자들이 거래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시장의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먼저 움직임을 보이는 대기 투자자들이 실거주를 겸한 중장기 투자 매입에 나서고 있다.”고 전한다.
서울 재건축 시장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대표적 재건축 아파트인 잠실주공5단지는 전주보다 시세가 2500만원이나 올랐다. 시장에선 급매물이 소화되면서 이제까지 하락폭이 컸던 지역이 반등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거래량은 11월 급매물이 소화된 이후 주춤하고 있다.
전셋값 상승세는 서울과 신도시에서 두드러졌다.
고양, 김포, 안양, 구리 등도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용인 역시 매물 부족으로 동백동, 보정동, 상현동, 죽전동 등 지역 전반에 걸쳐 오름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다른 지역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전반적으로 안정을 찾았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이사철을 거치면서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졌던 매매시장에서 최근 중대형 고가 아파트의 거래가 늘고 있는 것도 눈에 띈다.
전문가들은 올해 말까지 적용되는 9억원 초과 주택의 취·등록세 감면 혜택을 받기 위해 대기수요자들이 거래에 나섰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업계 관계자들은 “시장의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먼저 움직임을 보이는 대기 투자자들이 실거주를 겸한 중장기 투자 매입에 나서고 있다.”고 전한다.
서울 재건축 시장은 여전히 강세를 보였다. 대표적 재건축 아파트인 잠실주공5단지는 전주보다 시세가 2500만원이나 올랐다. 시장에선 급매물이 소화되면서 이제까지 하락폭이 컸던 지역이 반등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한다. 거래량은 11월 급매물이 소화된 이후 주춤하고 있다.
전셋값 상승세는 서울과 신도시에서 두드러졌다.
고양, 김포, 안양, 구리 등도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용인 역시 매물 부족으로 동백동, 보정동, 상현동, 죽전동 등 지역 전반에 걸쳐 오름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다른 지역 전셋값이 하락하면서 전반적으로 안정을 찾았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0-12-2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