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시 농촌진흥청 자리가 테마형 주거단지 및 친환경 자족시설용지로 개발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방으로 이전하는 농촌진흥청 등 7개 기관의 종전부동산(198만㎡) 개발계획을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활용계획은 국토부, 경기도, 수원시, 한국농어촌공사, 국토연구원 등 관련 기관 간 협의와 조정을 통해 마련됐다.
수원지역 종전부동산터는 여러 곳에 나누어져 있어 가능한 한 가까운 땅을 모아 6개 지구로 구분해 개발된다. 전체 개발면적의 35%를 공원·녹지·도로 등 기반시설로 계획하여 공공성을 최대한 확보했다. 대상 부지가 기존 시가지와 붙어 있어 인구밀도는 200명/ha(계획인구 약 3만명)의 중밀도로 설계했다. 주변 산업단지 등의 배후 생활편익시설과 주거용지로 개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농촌진흥청(권선구 서둔동) 일대는 조선 정조시대부터 농업발전의 메카였던 점을 감안, 역사·문화적 상징성을 보전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 국립농어업박물관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해당 부지(10.2만㎡)를 공원으로 만들기로 했다.
해당 지자체인 수원시는 활용계획을 도시관리계획에 반영하고 농어촌공사가 국토부, 수원시와 협력해 지방이전시기(2015년)에 맞춰 실수요자에게 매각하거나 개발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국토교통부는 지방으로 이전하는 농촌진흥청 등 7개 기관의 종전부동산(198만㎡) 개발계획을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활용계획은 국토부, 경기도, 수원시, 한국농어촌공사, 국토연구원 등 관련 기관 간 협의와 조정을 통해 마련됐다.
수원지역 종전부동산터는 여러 곳에 나누어져 있어 가능한 한 가까운 땅을 모아 6개 지구로 구분해 개발된다. 전체 개발면적의 35%를 공원·녹지·도로 등 기반시설로 계획하여 공공성을 최대한 확보했다. 대상 부지가 기존 시가지와 붙어 있어 인구밀도는 200명/ha(계획인구 약 3만명)의 중밀도로 설계했다. 주변 산업단지 등의 배후 생활편익시설과 주거용지로 개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농촌진흥청(권선구 서둔동) 일대는 조선 정조시대부터 농업발전의 메카였던 점을 감안, 역사·문화적 상징성을 보전하는 방향으로 개발된다. 국립농어업박물관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해당 부지(10.2만㎡)를 공원으로 만들기로 했다.
해당 지자체인 수원시는 활용계획을 도시관리계획에 반영하고 농어촌공사가 국토부, 수원시와 협력해 지방이전시기(2015년)에 맞춰 실수요자에게 매각하거나 개발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01-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