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속출… 한풀 꺾인 세종 부동산시장

미분양 속출… 한풀 꺾인 세종 부동산시장

입력 2014-07-12 00:00
수정 2014-07-12 01: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급만 많고 수요 뒷받침 못해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침체 속에 그나마 공무원 이전으로 잘나가던 세종시 부동산도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은 많지만 수요는 뒷받침되지 못해 미분양이 쌓이는 실정이다.

11일 반도건설에 따르면 이 건설사가 세종시 1-4생활권에서 분양한 ‘세종 반도유보라’가 3순위 청약에서 모두 561가구 모집에 933명이 몰려 평균 청약경쟁률 1.66대1을 보였다. 결과만을 놓고 보면 분양에 성공한 듯하지만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먼저 지난 9일 1, 2순위 청약 결과 전용면적 3개 타입 가운데 1개 타입(84㎡A)을 제외하고 나머지 2개 타입은 미달됐고 결국 10일 3순위 청약 접수에서야 모두 마감될 수 있었다.

반도건설과 함께 같은 날 청약 접수를 받아 중견건설사끼리 라이벌 구도를 형성했던 중흥건설은 더 쓴맛을 봤다. 중흥건설이 세종시 3-2생활권에 공급한 ‘세종 중흥S클래스 에코시티’는 10일 3순위 청약까지 이뤄진 결과 전용면적 84~109㎡ 898가구 모집에 293명만 청약 신청해 전 타입이 모든 순위에서 미달됐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2012년 세종시가 들어서기까지만 하더라도 아파트가 부족하다고 난리였지만 올해 들어 폭발적으로 증가한 데 비해 수요는 많지 않다는 점이 1순위 청약 결과에서 드러났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무원들이 세종시에 내려와 정착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여전히 서울에서 출퇴근하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수요가 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2단계 입주를 마친 세종시는 31개 기관, 1만여 명의 공무원의 터전이 됐다. 올해 말에는 국세청 등의 기관에서 2200명이 이전하며 3단계 입주를 마치게 된다. 주택 수요자가 비약적으로 늘지 않는 상황에서 아파트 공급은 계속 늘고 있다.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지난해 1만 1838가구가 분양된 데 이어 올해도 총 1만 2877가구가 쏟아질 예정이다. 하반기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이 2-2생활권에 1700여 가구, 신동아건설과 롯데건설이 1900여가구 각각 분양에 나선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센터 실장은 “그동안 세종시에 분양은 없고 수요는 많아 세종시 프리미엄이 있었지만 현재 일시적 공급 증가로 상황이 달라졌고 하반기 분양 물량도 만만치 않아 당분간 침체는 지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07-12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