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자 피해 ‘깡통 아파트’ 우려
수도권 2기 신도시인 경기 화성 동탄신도시 일부 아파트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90%를 넘기면서 ‘깡통아파트’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6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화성 동탄신도시의 전세가율은 평균 81.64%로 나타났다. 같은 2기 신도시인 인근 판교(68.01%)나 광교(59.62%)에 비해 10% 포인트 이상 높으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
동탄신도시 내 일부 아파트의 전세가율은 90%를 넘겼다. 동탄신도시 능동 ‘푸른마을 모아미래도’는 평균 매매가격이 2억 5785만원인 데 비해 평균 전셋값은 2억 4085만원으로 전세가율이 93.21%에 이른다. 매매가와 전세가 평균 가격 차이가 1700만원에 불과했다.
동탄신도시의 전세가율이 높은 것은 인근에 3만여명이 근무하고 있는 삼성전자 화성사업장과 협력업체 등이 있어 전세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동탄신도시에 이어 전세가율이 두 번째로 높은 곳은 광주 북구로 80.37%였다. 경북 구미시(80.03%), 대구 달서구(79.75%), 광주 광산구(79.68%) 등이 뒤를 이었다.
전세가율이 고공행진을 하자 ‘깡통아파트’ 문제도 우려된다.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안 날수록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대출금과 전세금을 다 갚지 못해 세입자들이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보증금을 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10-07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