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판매 중인 실손의료보험 상품 중 흥국화재의 다이렉트 실손의료보험의 보험료가 가장 저렴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부터 본격 판매에 들어간 유병력자 실손보험은 일반 보험보다 2배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소비자연맹은 19개 보험사의 상품 98개를 전수 조사한 결과 흥국화재 다이렉트 실손보험의 보험가격지수가 76.3%로 가장 낮았다고 9일 밝혔다. 보험가격지수란 각 보험사가 내놓은 같은 유형의 상품의 평균값을 100으로 놓고 개별 상품의 가격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100보다 낮으면 저렴한 상품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금소연 관계자는 “2009년 실손보험이 표준화된 이후 모든 상품의 구조, 보장이 동일하기 때문에 보험가격지수를 가지고 평가했다”고 말했다. 실손보험은 1년 갱신형 상품이기 때문에 보험가격지수를 비교하는 것이 합리적 선택의 기준이 될 수 있다.
흥국화재 다이렉트 실손보험 다음으로는 역시 흥국화재의 ‘다이렉트 실손의료보험 선택형Ⅱ’(76.3%)와 현대해상 ‘다이렉트 실손의료비보장보험 표준형’(85.0%)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메리츠화재의 설계사판매용 유병력자 실손의료보험1910은 보험가격지수 233.1%로 가장 비싼 상품으로 조사됐다. 흥국화재의 ‘유병력자 실손의료보험1810’(227.5%), KB손해보험의 ‘가입간편 실손의료비보장보험(223.3%)도 업계 평균보다 2배 이상 비쌌다.
한편 금소연이 가입자 10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보험료가 비싸다고 응답한 비율은 46.9%로 채 절반이 되지 않았다. 또 실손보험금 청구에 대해서는 55.8%가 만족한다고 응답했고, 만족하지 않는다는 가입자는 6.9%에 그쳤다. 다만 병원에서 직접 전자적 자료로 보험금을 청구하는 ‘창구 간소화’가 필요하다는 응답도 77.6%로 나타나 간편 청구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사실이 재확인 됐다.
실손보험료를 낮추기 위해서는 사망, 후유장애에 특약으로 부가되는 ‘특약형 상품’보다는 실손보험으로만 구성된 단독성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또 인터넷상품의 보험료가 대면채널 상품보다 대략 4%가량 저렴하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