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배당보다 5~7%P가량 낮출 듯
위기에 대비… 보수적 주주배당 권고
금융위원회는 올 6월 말까지 순이익의 20% 이내로 배당할 것을 은행권에 권고하기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주요 금융지주의 배당 성향이 25~27%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5~7% 포인트가량 낮추라는 것이다. 배당 성향은 배당금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것인데 배당 성향이 높으면 그만큼 기업이 번 돈을 주주들에게 많이 돌려준다는 얘기다.
금융 당국은 지난해 말부터 은행권과 배당 축소 방안을 협의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금융지주사와 은행이 배당을 줄여 손실흡수 능력을 확충하라는 게 금융 당국의 입장이었다.
이 과정에서 1997년 외환위기(성장률 -5.1%)보다 더 큰 강도의 위기 상황을 가정해 시나리오별 충격을 견딜 수 있는지 평가하는 스트레스 테스트(재무건전성 평가)도 했다. 신한·KB·하나·우리·NH·BNK·DGB·JB 등 8개 금융지주사와 SC·씨티·산업·기업·수출입·수협 등 6개 은행이 대상이었다.
평가 결과 U자형(장기 회복)과 L자형(장기 침체) 시나리오에서 모든 은행의 자본비율은 최소 의무 비율(보통주 자본비율 4.5%, 기본자본비율 6%, 총자본비율 8%)을 웃돌았다. 반면 배당 제한 규제 비율은 L자형 시나리오에서 상당수 은행이 기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21-01-29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