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 신한카드도 실적 ‘뚝’… 소비자 혜택 ‘뚝’

1위 신한카드도 실적 ‘뚝’… 소비자 혜택 ‘뚝’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3-05-02 01:46
수정 2023-05-02 0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곳 1분기 당기순이익 23% 감소
신한, 우수고객 무이자 할부 없애

이미지 확대
금리인상 여파로 카드사의 조달 비용이 커지면서 상위사까지 실적이 급감하는 모양새다. 카드사 실적 악화가 소비자 혜택 축소로 이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실적을 발표한 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카드 등 카드사 다섯 곳의 1분기 합산 당기순이익은 460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5957억원)보다 22.7% 감소한 수치다.

업계 1위 신한카드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667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5.2% 감소했다. 지난해 호실적으로 직원들에게 연봉 50%를 성과급으로 지급한 삼성카드도 실적 둔화를 피하지는 못했다. 삼성카드는 1분기 145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렸는데, 지난해 1분기(1608억원)와 비교하면 9.5%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말 타 카드사들의 실적 둔화가 감지되기 시작했을 때 삼성카드가 한 해 동안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2.9% 성장한 622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국민카드(820억원)와 우리카드(458억원)의 당기순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31%, 46.4% 줄었다. 하나카드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202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546억원)보다 무려 63%나 줄었다. 고객 확보를 위해 무이자 할부를 확대했던 것이 실적 악화에 영향을 끼쳤다는 설명이다. 치솟는 연체율 역시 악영향을 끼쳤다. 5개 카드사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은 지난해 말 0.86~1.21% 수준에서 올 1분기 1.10~1.37%로 상하단이 모두 치솟았다. 연체율이 높아지면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고, 순이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실적 둔화를 확인한 카드사들은 무이자 할부나 알짜카드 등 소비자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을 줄이고 있다. 업계 1위 신한카드는 지난달 중순부터 우수 고객인 ‘탑스클럽’ 고객이 일시불 거래를 분할 납부할 때 무이자 할부를 적용하던 것을 없애기로 했다. 캐시백 5%를 제공하던 ‘딥에코 신한카드’는 3월 말로 단종됐고, 실적 조건 없이 최대 5만원을 캐시백해 주는 ‘카카오뱅크 신한카드’도 2일부터 단종된다. 비씨카드는 인플루언서를 내세워 업종별 특화 혜택을 강조한 ‘인디비주얼 카드’ 발급을 지난달 중단했다.

2023-05-0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