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상승 ‘누적’ 영향
지난해 7월까지 5대 은행의 신규 연체율 평균은 0.04%로 변동이 없었다. 그러나 8월 0.05%로 오른 뒤 11월 0.06%, 12월 0.07%, 올해 1월 0.08%, 2월 0.09%로 점차 상승했다. 은행들이 관리에 나서면서 지난 3월 0.07%로 소폭 하락했지만, 4월 0.08%, 5월 0.09%로 다시 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가계와 기업의 은행 연체율이 모조리 악화됐다. 지난달 가계 신규 연체율은 0.08%로 1년 전(0.04%)의 2배로 높아졌다. 기업 신규 연체율도 0.11%로 전년 같은 달(0.05%)의 2배가 넘었다.
최근 뚜렷한 연체율 상승은 기준금리 상승의 누적 효과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2021년 8월 통화정책 정상화에 착수해 지난 1월까지 역사상 가장 빠른 금리 인상(3% 포인트)을 단행했다. 이후 3연속 금리 동결로 일단 인상 기조를 멈췄지만, 금리 인하 시점을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 높은 수준의 금리로 인한 원리금 상환 부담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경기둔화에 따른 기업 실적 부진도 연체율 상승 배경으로 꼽힌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의 17.5%가 한계기업으로 조사됐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으로 이자 비용이 영업이익보다 많은 기업을 뜻한다.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금리가 높은 상태가 유지되면서 연체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연체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전제하에 중장기적 계획을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3-06-2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