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금리체계에 분노 커… 상생 금융으로 민생과 함께 간다”

“현 금리체계에 분노 커… 상생 금융으로 민생과 함께 간다”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4-01-03 02:13
업데이트 2024-01-03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대 금융지주 CEO 신년사

이미지 확대
“‘경쟁과 생존’에서 ‘상생과 공존’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합니다.”(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고금리 시기 예대 마진으로 역대급 실적을 쌓으며 ‘돈 잔치’ 비판에 직면했던 금융지주사들이 새해 ‘상생금융’을 앞세우며 금융 소비자와의 거리 좁히기에 나섰다.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늘어나는 상황이지만 ‘민생 살리기’라는 정부 기조에 발맞추려는 행보로 해석된다.

●KB, 고객 범주에 ‘사회’ 포함 전략

2일 국내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금융) 회장들의 신년사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상생’이었다. 양 회장은 “부의 양극화로 사회 곳곳에 취약계층이 확대됨에 따라 금융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면서 “KB 고객의 범주에 ‘사회’를 포함해 ‘공동 상생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하나, 모든 이해관계자 위해 변화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도 “노력과 성과에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게 사실”이라면서 “고금리로 고통받는 많은 이들에게 (현행) 금리체계는 정당하고 합리적인가에 대한 불신을 넘어 분노를 일으키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객과 직원, 주주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상생할 수 있도록 새롭게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한, 3067억 민생금융 지원안 내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규모와 성과에만 몰두한다면 고객이란 본질을 놓칠 수 있다”면서 “이택상주(麗澤相注·서로 협력하고 도움을 주는 것)의 마음으로 상생을 실천하자”고 임직원을 독려했다. 이날 신한은행은 자영업자·소상공인 26만명을 대상으로 3067억원의 민생금융 지원안을 내놓기도 했다.

●우리, 기업금융 더불어 상생 지원

지난해 아쉬운 실적을 냈던 우리금융도 ‘기업금융 명가’의 위상을 되찾겠다는 목표 속에 상생금융을 빼놓지 않았다.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고객과 함께 성장하겠다는 마음으로 적극적인 상생금융 지원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석준 농협금융 회장은 “‘모든 사업은 고객 시점에서’라는 경영 기조를 다시 한번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말했다.

●농협, 모든 사업은 고객 시점 강조

한편 농협금융을 제외한 4대 금융지주가 올해도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거란 전망이 나왔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이날 이들 지주사의 올해 연간 당기순이익을 17조 2316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지난해 추정치 대비 4.1% 늘어난 수준이다.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이 축소되더라도 성장세를 이어 갈 거란 관측이다.
민나리 기자
2024-01-03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