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증시 레벨업… 한국 또 세계국채지수 편입 무산

갈 길 먼 증시 레벨업… 한국 또 세계국채지수 편입 무산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03-28 18:21
업데이트 2024-03-29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채권시장 관찰대상국 지위 유지
접근성·직접 투자 등 매력 높여야
편입 땐 외국계 자금 80조원 유입

한국의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이 불발됐다. 글로벌 지수 편입을 통해 자본시장의 도약을 이루려는 정부의 오랜 숙원 역시 다시 한번 불발됐다. 우리 채권과 주식의 ‘레벨업’을 위해서는 여전히 과제가 많다는 평가다.

2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WGBI를 관리하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스톡익스첼린지(FTSE) 러셀은 27일(현지시간) FTSE 채권시장 국가분류를 발표하면서 한국의 국채지수 관찰대상국 지위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2022년 9월 WGBI 편입 고려를 위한 관찰대상국에 올랐지만 매년 3월과 9월에 실시되는 국가분류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WGBI에는 미국과 영국, 캐나다, 일본 등 주요 24개국 국채가 편입돼 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0대국 가운데 WGBI에 편입되지 않은 나라는 한국과 인도뿐이다. WGBI 편입은 우리 국채 시장에 외국계 투자 자금의 유입 활성화로 이어진다. 메리츠증권은 우리나라가 WGBI에 편입되면 국내 국채 시장에 600억 달러(약 80조원)의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WGBI에 편입되기 위해서는 ▲국채 발행 잔액 500억 달러(66조 7400억원) 이상 ▲국가신용등급 S&P 기준 A마이너스 이상(무디스 A3 이상) ▲시장접근성 레벨 2 등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한국은 시장 접근성 레벨이 1인 상태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외국인 투자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1월부터 외국인 국채 투자소득에 대한 비과세를 시행하고 있다. 12월에는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IRC)를 폐지했다. 이어 오는 7월에는 ‘외환시장 구조개선’ 방안이 정식 시행돼 외국 금융기관(RFI)의 국내 외환시장 직접 참여와 개장 시간 연장(새벽 2시) 등이 이뤄진다. 이 같은 시장 접근성 개선을 통해 올해 9월에는 WGBI 편입이 가능할 것이라는 게 정부와 당국의 관측이다.

김소라 기자
2024-03-29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