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형욱 사장 취임 후 첫 미디어데이
수소·LNG 등 4대 핵심사업 전략 제시“재생에너지·전기차 배터리 한계 보완
2025년까지 기업가치 35조 목표” 선언
추형욱 SK E&S 사장이 1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취임 후 첫 ‘미디어데이’ 행사를 열고 2025년까지 기업가치 35조원 규모의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내용의 ‘파이낸셜 스토리’를 발표하고 있다.
SK E&S 제공
SK E&S 제공
추 사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2021 SK E&S 미디어데이’ 행사를 열고 수소, 재생에너지, 에너지솔루션, 친환경 액화천연가스(LNG) 등 4대 핵심사업의 미래 경쟁력과 목표를 담은 ‘파이낸셜 스토리’를 발표했다. 파이낸셜 스토리란 매출·영업이익 등 재무적 목표와 함께 중장기 비전과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제시해 고객과 투자자 등으로부터 신뢰와 공감을 이끌어내는 SK그룹 만의 경영 전략이다.
추 사장은 “국내 1위 도시가스 사업자, 민간 최대 규모 LNG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한 데 그치지 않고 에너지 기업으로서 심각한 기후 변화 위기를 더는 외면할 수 없다는 고민에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게 됐다”고 행사 취지를 밝혔다. 추 사장은 먼저 글로벌 1위 수소 사업자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전기차 배터리의 한계를 친환경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해법이 수소라는 판단 아래, 2025년까지 수소 공급 능력을 연 28만t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구체적으로 2023년까지 SK인천석유화학 단지에 연 3만t 규모의 액화수소 공장을 완공하고, 2025년까지 충남 보령LNG터미널 인근에 연 25만t 규모의 블루수소 생산체제를 갖출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구축, 수소충전소 100곳 설치, 액화수소 드론 조기 상용화 등도 추진한다. 앞서 최태원 회장은 2025년까지 18조원을 집중투자해 수소의 ‘생산-유통-소비’에 이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2025년 재생에너지 7GW(기가와트)와 탄소배출권 120만t을 보유한 재생에너지 투자전문회사로 성장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현재 SK E&S는 200㎿ 규모 새만금 수상 태양광 사업을 비롯해 국내 2.5GW 규모에 달하는 재생에너지 사업을 개발·운영 중이다. 아울러 SK E&S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LNG 생산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2021-09-0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