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D 10년 기술 집약 ‘OLED.EX’ 공개
화면 테두리 두께 30% 줄여 몰입감 높여
TV 12% 역성장에도 올 OLED 70% 성장
내년 2분기부터 OLED TV 패널에 적용
삼성, QD-OLED 양산… “시장도 커질 것”
29일 열린 ‘OLED.EX’ 미디어데이에서 LG디스플레이 대형 사업부장 오창호(왼쪽) 부사장이 차세대 TV 패널 ‘OLED.EX’를 적용한 65인치 OLED TV 시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가 이날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공개한 OLED.EX는 스스로 빛을 내는 유기발광 소자에 ‘중(重)수소 기술’과 ‘개인화 알고리즘’을 적용해 기존 OLED 대비 화면 밝기(휘도)를 30% 높인 점이 특징이다. 일반 수소보다 2배 무거운 중수소는 약 6000개의 수소 원소 중 1개꼴로 자연계에 극소량 존재하는 물질로, LG디스플레이는 물에서 중수소를 추출해 유기발광 소자에 적용했다. 중수소를 적용한 소자는 밝기를 높여도 고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더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작동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여기에 독자 개발한 머신러닝 기반의 개인화 알고리즘을 패널에 적용해 사용자 시청 패턴을 학습하고, 유기발광 소자의 개별 사용량을 예측해 영상의 색감과 선명도를 더욱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 TV 화면 테두리(베젤) 두께도 65인치 기준 6㎜대에서 4㎜대로 약 30% 얇아져 더욱 몰입감 있는 시청이 가능하다. 회사는 “사람이 실제 눈으로 보는 것과 비슷한 차원의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제품 공개회에 참석한 오창호 LG디스플레이 대형 사업부장(부사장)은 “올해 전체 TV 시장이 지난해 대비 12% 역성장했지만, OLED 제품은 약 70% 성장했다”며 “OLED 소자의 진화, 알고리즘의 진화, 디자인의 진화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삼성디스플레이가 QD-OLED 양산을 시작한 것에 대해서 “경쟁사가 OLED 진영에 진입하는 것 자체를 환영한다”라면서 “OLED 시장이 커지고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삼성의 주력 TV 제품 ‘네오 QLED’에 적용된 미니 LED 기술 관련 질문에 “차별화할 것이 없어서 휘도만 높였다”며 “그래서 사람 눈 건강을 나쁘게 하는 기기다. 저희가 맞다고 본다”라며 견제도 잊지 않았다.
2021-12-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