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코어 등 자산 3조 매각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 그룹 전환
코로나19 확산 이후 유동성 위기로 3조원의 긴급 자금을 수혈받았던 두산그룹이 2년 만에 채권단 관리 체제에서 벗어났다. 구조조정을 마무리하면서 독립 경영 체제로 전환하는 두산그룹이 다시 일어서려면 가스터빈과 수소 등 그룹의 신사업 성공이 관건이라는 관측이다.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은 28일부터 두산중공업이 채권단과 두산그룹 간 체결했던 재무구조 개선 약정(MOU)에 따른 채권단 관리 체제를 종결한다고 27일 밝혔다. 두산중공업이 2020년 3월 채권단에 긴급자금 지원을 요청한 지 23개월 만에 구조조정을 탈출한 것이다.
산은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재무구조 개선과 향후 사업 전망에 대한 외부 전문기관의 재무진단 결과 두산중공업의 재무구조가 다시 독립 경영이 가능한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확인했다”면서 “두산중공업은 유동성 위기 극복과 미래형 사업 구조로의 새 출발 등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평가했다. 두산중공업은 2010년대 들어 채권단 관리를 최단기로 졸업한 사례가 됐다.
두산그룹 구조조정은 2020년 초 두산중공업의 자금난으로 촉발됐다. 석탄·화력 등 전통 발전 분야의 실적 둔화, 자회사에 대한 자금 지원 부담으로 재무구조가 악화된 두산중공업은 코로나19 확산 충격으로 유동성 부족을 겪게 됐다. 채권단은 당시 두산중공업 부실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모두 3조원의 긴급 자금을 지원하면서 대주주의 책임 있는 역할, 직원의 고통 분담, 지속가능한 정상화 방안 수립 등을 3대 원칙으로 내걸었다.
두산그룹은 자구계획의 하나로 두산타워, 두산인프라코어 등 3조 1000억원의 계열사 자산을 팔아치웠다. 이어 1조 1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이달 18일 마무리하면서 두산중공업에 3조 4000억원의 자본을 확충했다. 산은은 “짧은 기간 계열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구조조정을 조기 졸업한 두산그룹은 두산중공업의 가스터빈, 두산퓨얼셀의 수소연료전지 사업을 중심으로 친환경 에너지 그룹 전환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2022-02-2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