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선별기술 中企에 나눈 포스코

플라스틱 선별기술 中企에 나눈 포스코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2-05-24 18:10
수정 2022-05-25 02: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포스코그룹과 정재화 고려대 교수의 협업으로 탄생한 파일럿 플라스틱 선별기(왼쪽)와 분리 파쇄로 용기에 담긴 재활용 소재들. 포스코그룹 제공
포스코그룹과 정재화 고려대 교수의 협업으로 탄생한 파일럿 플라스틱 선별기(왼쪽)와 분리 파쇄로 용기에 담긴 재활용 소재들.
포스코그룹 제공
포스코그룹의 기술이 2017년부터 중소기업으로 무료로 제공되고 있다. 포스코그룹에서 탄생한 기술들이 전혀 다른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이종사업 간의 시너지는 미래 사업을 개척하는 포스코그룹에도 의미가 깊다.

대표적으로 충남 천안시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업 그린폴이다. 그린폴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수거하는 것에서부터 공정을 시작한다. 수거한 플라스틱은 기본적인 선별을 거쳐 잘게 파쇄해 음식물 등의 이물질을 세척한 뒤 탈수와 건조를 거친다. 파쇄 플라스틱을 종류별로 선별하고 녹여 일정한 크기와 모양으로 뽑아낸 뒤 식히면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가 완성된다.

그린폴은 시작 단계에서 몇 가지 과제에 맞닥뜨리게 됐다. 첫 과제는 플라스틱의 경제성 있는 선별이었다. 2020년 12월부터 투명 페트병은 색이 있는 플라스틱과 구분해 분리수거한다. 투명 플라스틱은 재활용을 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하지만 투명 플라스틱 외에도 선별해야 하는 플라스틱 종류가 많고, 포장재나 음식 용기 등 다른 플라스틱 소재가 섞이면 재생 원료의 품질이 떨어진다. 일일이 사람 손으로 선별하면 시간도 비용도 많이 든다. 이런 난제를 해결하고자 떠올린 아이디어가 바로 ‘정전 선별 기술’이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초기에 재질별로 선별할 필요 없이 한꺼번에 파쇄한 뒤 선별기에 통과시키면 분리가 완료되므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아낄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상용화된 정전 선별기가 없었고, 해외 장비를 도입하자니 비용이 너무 컸다. 이를 해결한 것이 포스코가 개발한 특허 기술 ‘이중 컨베이어형 정전 선별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정전 선별기’였다. 포스코의 기술 나눔에 힘입어 마찰대전 전문가 정재화 고려대 전자·기계융합공학과 교수가 한 달 만에 기기를 완성했다.
2022-05-2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