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설움이 엊그제 같은데…‘5년간 5조’ 두산 “원전 경쟁력 확대”

‘탈원전’ 설움이 엊그제 같은데…‘5년간 5조’ 두산 “원전 경쟁력 확대”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2-05-25 15:57
수정 2022-05-25 15: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남 창원시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조립공장.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경남 창원시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 가스터빈 조립공장.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두산그룹이 윤석열 정부를 맞이한 대기업들의 대대적인 투자 행렬에 합류한다. 특히 전 정권에서 핍박받았던 ‘원전’ 사업의 경쟁력 확보를 앞세워 눈길을 끈다.

25일 두산그룹은 향후 5년간 차세대 에너지 사업에 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 가스터빈, 수소연료전지 등의 사업을 콕 집어 강조했다. 두산 측은 보도자료에서 “원전을 비롯한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나선다”고도 덧붙였다.

지금은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을 바꾼 두산중공업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의 최대 피해자로 지목돼 갖은 수모를 겪었다. 국내 최대 원전 업체이지만, 사업 경쟁력 강화나 투자 등에는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지 못했었다. 그러나 세계적인 탄소중립 트렌드와 정권 교체가 맞물리면서 원전 사업이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부상했다. 두산이 태도를 바꿔 원전 사업에 대대적으로 투자를 밝힌 것은 이 때문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달 25일 미국의 뉴스케일과 SMR 주기기 제작 관련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국내 투자자와 손잡고 이 회사에 1억 400만 달러 규모의 지분 투자도 했다. 내년 하반기 중 SMR 본 제품 제작에 돌입하는 것이 목표다. 두산 측은 “SMR은 안전성과 경제성, 운용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미래형 원전”이라면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반도체, 배터리와 함께 한미 경제안보동맹의 한 축으로 부상한 만큼 힘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했다.

가스터빈, 수소연료전지 사업은 물론 지난달 새롭게 진출한 반도체 사업에서도 기존 공장을 증설하고 새 공장을 짓는 등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협동로봇, 수소드론 등 미래형 사업과 의약품 보관용 소재 사업, 5G 안테나 소재 사업 등 시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신규 사업의 투자도 점차 늘릴 계획이다.

두산 관계자는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안정된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