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시총 10개월 새 328조 증발...삼성 129조 줄고 ‘엔솔 효과’ LG 2위 껑충

대기업 시총 10개월 새 328조 증발...삼성 129조 줄고 ‘엔솔 효과’ LG 2위 껑충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2-11-01 10:16
업데이트 2022-11-01 1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글로벌 경기침체 심화에 투자심리 위축
카카오·네이버 시총 50% 이상 급감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여파로 주요 대기업 상장사들의 시가총액이 최근 10개월 새 328조원 증발했다. 카카오와 네이버 등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 기업들은 이 기간 50% 이상 시총이 급감하며 하락세가 두드려졌고, LG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 상장 효과로 시총 4위에서 2위로 뛰어올랐다.
이미지 확대
대기업 시총 10개월 새 328조 증발. 연합뉴스
대기업 시총 10개월 새 328조 증발. 연합뉴스
1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76개 대기업집단 중 70개 그룹 상장사 303곳의 시총을 분석한 결과 지난달 28일 기준 기업들의 시총 합계는 1458조 9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초(1월 3일)와 비교해 328조 6421억원(18.4%) 감소한 규모다. 70개 대기업 집단 중 55개 대기업 집단의 시총이 감소했고, 15개 대기업 집단에서는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 상장사 전체 시총은 2664조 6935억원에서 2111조 1838억원으로 553조 5097억원(20.8%) 감소했다.

삼성그룹은 16개 상장사 시총 541조 8045억원으로 부동의 1위는 유지했지만 연초 대비 129조 3579억원(19.3%) 감소했다. 16개 상장사 중에서는 삼성전자(-127조 1563억원), 삼성전기(-5조 7140억원), 삼성SDS(-2조 6695억원) 등 10개 상장사의 시총이 줄었다. 삼성SDI(5조 2948억원)와 삼성바이오로직스(2조 721억원), 삼성생명(5800억원) 등 6개 상장사는 시총이 증가했다.

LG그룹은 지난해 LX그룹의 계열 분리로 시총이 약 5조원 줄었지만 올해 LG에너지솔루션의 상장으로 124조 4880억원이 더해지면서 시총 200조원을 돌파했다. 시총 순위도 SK그룹과 현대차그룹을 단번에 제치며 2위로 올랐다. 그러나 LG생활건강(-9조 3709억원), LG전자(-9조 7534억원), LG디스플레이(-4조 3832억원) 등 LG그룹 10개 상장사의 시총은 모두 감소했다.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LG트윈타워 앞. 연합뉴스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LG트윈타워 앞. 연합뉴스
3위는 SK그룹(20개 상장사 132조 3414억원), 4위는 현대차그룹(10개 상장사 105조 6177억원)으로, 두 기업 집단의 시총은 연초 대비 각각 77조 5565억원(-36.9%), 24조 2415억원(-18.7%) 감소했다.

5위 포스코그룹의 시총은 40조 2122억원으로 연초 39조 9912억원보다 증가했다. 2차전지 소재 업체인 포스코케미칼 시총이 연초 대비 39.4% 상승하며 포스코그룹의 전체 시총을 끌어올렸다.

카카오그룹은 5개 상장 계열사의 시총이 연초 110조 5376억원에서 37조3천903억원으로 66.2% 급감하며 시총 순위도 5위에서 7위로 2계단 내려앉았다.

네이버 시총은 61조 6824억원에서 26조2천478억원으로 57.4% 폭락하며 순위는 6위에서 9위로 밀려났다.
박성국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