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로 3.6조원 유상증자 반발 직면
민주 이재명 등 상법 개정 통과 촉구
한화그룹은 방산과 조선업 호황에 힘입어 높은 매출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지만, 최근 유상증자 논란이 정치권으로 불똥이 튀면서 기세가 한풀 꺾인 모습이다.22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의 작년 연결 매출은 10조 7760억원으로 2023년(7조 4083억원) 대비 45.5% 증가했다. 한화그룹의 종합 방산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작년 연결 매출로 11조 2401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9조 3590억원) 대비 20.1% 증가한 수치다. 양사는 올 1분기에도 순항 중이다.
하지만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달 20일 국내 역사상 최대 규모인 3조 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단행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승계 자금 마련용’이라는 정치권과 시장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특히 정치권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를 상법 개정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사례로 꼽고 있다. 지난 14일 국회에서 열린 ‘한화 경영권 3세 승계,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에서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주주의 이익을 고려하지 않은 지배 구조의 문제점을 보여 주는 전형적인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사례를 언급하며 상법 개정안 통과를 촉구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에서도 “상법 개정안의 명분을 더 크게 만들었다”(김재섭 의원)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사실상 유상증자 발표 직후를 제외하면 주가가 오히려 올랐기 때문에 소액주주들의 피해도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2025-04-2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