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SK 숲/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SK 숲/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0-04-05 00:00
수정 2010-04-05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숲이 인간에게 주는 혜택은 엄청나다. 국립산림과학원의 분석(2008년 기준)에 따르면 637만㏊(국토면적의 65%)에 이르는 산림은 돈으로 따져 국민 한 사람에게 한 해에 151만원의 혜택을 준단다. 추정산출 결과 산림의 간접혜택은 73조원(국민총생산의 7.1%)이나 된다. 7대 공익 기능별로 보면 ▲수원 함양 18조 5315억원 ▲산림 정수 6조 2186억원 ▲토사유출 방지 13조 4867억원 ▲토사붕괴 방지 4조 7479억원 ▲대기 정화 16조 8365억원 ▲산림 휴양 11조 6885억원 ▲야생동물 보호 1조 6702억원이란다. 산림의 총가치는 농림어업 총생산의 3배, 임업 총생산의 18배에 이른다니 국민은 부지불식간에 숲으로부터 적지 않은 신세를 지고 있는 셈이다.

기업임업의 선구자인 고(故) 최종현 SK 회장이 평생에 걸쳐 정성들여 가꾼 ‘SK 숲’이 39년째를 맞았다. 그는 벌거숭이 산이 많았던 1972년 인재육성을 위한 장학사업과 산림의 자원화를 꿈꾸며 사재를 털어 ‘서해개발’이란 전문 임업기업을 세웠다. 충주 인등산과 천안 공덕산, 영동, 오산 일대 4100㏊에서 조림사업을 시작했다. 나무 한 그루마다 사람처럼 이름을 붙여 수적부(樹籍簿)를 만들고 과학적으로 관리한 일화는 유명하다. 그에게 나무는 곧 사람이었다. 그가 가꾼 조림지를 ‘인재의 숲’으로 명명한 것도 그 때문이다. 고인이 최근 산림청에서 선정한 ‘숲의 명예의 전당’에 여섯 번째 헌정자로 이름을 올린 것은 그런 점에서 때늦은 감이 있다. 이 전당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 현신규 박사, 임종국 독림가, 김이만 나무할아버지, 민병갈 전 만리포수목원장 등 5명이 헌정되어 있다.

오늘은 식목일. 해마다 맞는 날이지만 이미 40여년 전에 조림을 통해 사회공헌을 실천한 고인의 혜안이 더욱 돋보인다. 더구나 저탄소 녹색성장과 신재생에너지 등 지구온난화 방지가 세계적 화두가 되고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 아닌가. 고인이 가꾼 ‘SK 숲’은 효자노릇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유실수와 임산물 가공 사업을 벌이고 있는 SK임업은 지난해 매출 346억원에 순익 14억원을 올렸다고 한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부산물에 속한다. SK 숲에서 나오는 맑고 신선한 공기로 해마다 20만명이 숨쉴 수 있다. 한 해에 자동차 4000대가 내뿜는 이산화탄소와 맞먹는 양(3만 3000t)을 빨아들여 산소로 바꿔놓는다. “나무를 심는 사람들은 미래의 희망을 가꾸는 사람들”이라고 했던 고 최 회장의 가르침이 떠오르는 식목일 아침이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0-04-05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