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초등학교 1학년 아들의 학부모 상담을 다녀왔다. 키도 작고 마른 체격의 아들이 주눅 들지 않을까 걱정하는 나에게 담임교사는 싸움 이야기를 해 줬다. 말썽꾸러기 급우가 있는데 그 아이가 자신의 색연필을 두고 아들의 색연필을 아무 말 없이 가져갔고, 이를 본 아들이 덤비면서 서로 치고받은 뒤 아들이 사과를 받아 냈다고 했다. 안심이 됐지만 왠지 씁쓸했다.
쌍둥이 아들들이 입학하던 지난달 첫 주, 준비물을 챙기면서 나는 견출지를 100개 이상 붙였다. 크레파스 24색, 색연필 12색, 사인펜 16색, 연필 3자루…. 하나하나의 물건에 아이들 이름을 써 붙여야 했다. 일단 싸움을 막고, 싸움이 생기면 잘잘못을 가리기 위해 필요한 일이었고 학교도 요구했다.
지난해 영국에서 두 아들이 만 5세에 입학해 초등학교 1학년을 다녔을 때는 필기구를 가지고 가지 않았다. 학교로부터 아이들이 자신의 물건에 신경을 쓰느라 집중력이 떨어지고 행여 싸울 수 있다며 필기구를 챙겨 오지 말라는 요청을 받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작은 것 하나라도 자기 것을 정확하게 표시하고 누군가가 허락 없이 가져가면 자기 것임을 주장해야 한다. 영국에서는 학교에서 준비된 물건을 함께 쓰고 누군가 쓰면 자신의 차례를 기다려야 한다. 물론 영국에서도 다른 사람의 물건을 허락 없이 가져다 쓸 경우 교사의 꾸중을 듣는다.
내 것을 챙기는 문화와 함께 쓰는 문화. 사회가 어떤 것에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 교육 현장의 모습이 따라가는 것이 맞다고 본다. 그래서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잘못 느끼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즘 사회는 나누는 문화를 강조하고 있다. 아이들이 처음 만나는 공공 교육현장은 다르다.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는 것은 지식의 습득도 있지만 친구를 사귀고 공공질서를 지키는 등 사회생활을 경험시키기 위해서다.
정부, 나아가 사회가 지금 강조하는 문화와 다른 문화를 꿈꾼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미래상에 대한 고민이나 논의 없이 교육현장이 그저 편의주의적으로 움직이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그래도 되는 걸까.
lark3@seoul.co.kr
전경하 경제부 차장
지난해 영국에서 두 아들이 만 5세에 입학해 초등학교 1학년을 다녔을 때는 필기구를 가지고 가지 않았다. 학교로부터 아이들이 자신의 물건에 신경을 쓰느라 집중력이 떨어지고 행여 싸울 수 있다며 필기구를 챙겨 오지 말라는 요청을 받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작은 것 하나라도 자기 것을 정확하게 표시하고 누군가가 허락 없이 가져가면 자기 것임을 주장해야 한다. 영국에서는 학교에서 준비된 물건을 함께 쓰고 누군가 쓰면 자신의 차례를 기다려야 한다. 물론 영국에서도 다른 사람의 물건을 허락 없이 가져다 쓸 경우 교사의 꾸중을 듣는다.
내 것을 챙기는 문화와 함께 쓰는 문화. 사회가 어떤 것에 가치를 두느냐에 따라 교육 현장의 모습이 따라가는 것이 맞다고 본다. 그래서 교육은 백년대계라고 부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잘못 느끼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요즘 사회는 나누는 문화를 강조하고 있다. 아이들이 처음 만나는 공공 교육현장은 다르다.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는 것은 지식의 습득도 있지만 친구를 사귀고 공공질서를 지키는 등 사회생활을 경험시키기 위해서다.
정부, 나아가 사회가 지금 강조하는 문화와 다른 문화를 꿈꾼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미래상에 대한 고민이나 논의 없이 교육현장이 그저 편의주의적으로 움직이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그래도 되는 걸까.
lark3@seoul.co.kr
2010-05-0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