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찌아찌아어와 광둥어/김성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찌아찌아어와 광둥어/김성호 논설위원

입력 2010-07-28 00:00
수정 2010-07-28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시대 구분을 할 때 선사, 역사를 가르는 기준은 문자의 사용 여부다. 문자를 사용하면서 인류의 문명은 급속도로 발전했고 문자와 언어 또한 다양하고 복잡해졌다. 방언이 많은 나라에선 표준어며 공용어를 세웠고, 커뮤니케이션을 돕기 위한 국제보조어 에스페란토까지 생겨났을 정도이다. 그러나 문명 발달과 함께 발전했던 문자, 언어가 소통과 발달의 장애가 되는 경우도 있다니 아이러니다.

언어와 문자는 개인과 사회의 양식과 문화를 지배한다고 한다. 그래서 과거 제국주의시대 많은 나라들은 점령의 1차적 수단으로 언어의 통제를 썼다. 구한말 열강들이 한반도에 진출하면서 어김없이 들었던 카드도 종교와 언어였다. 일제강점기 일제가 내선일체(內鮮一體)의 민족말살책으로 썼던 정책도 조선어 교육 폐지와 일본어 상용(常用)이었다.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6500여개. 유네스코가 낸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가운데 5900개가 21세기 말 이전 사라질 것이라 한다. 그나마 199개 언어는 사용자가 10명도 안 되는 심각한 상황이다. 언어가 개인, 사회의 양식과 문화를 비춘다고 할 때 언어의 폐기는 문화와 양식의 소멸이다. 그런 ‘언어의 위기’시대에 한글이 세계인들의 관심을 받고 있으니 흐뭇한 일이다. 554년 전 “어린 백성을 어엿비 여겨 맹가노니….”라며 한글을 창제했던 세종대왕의 뜻이 만천하에 통한다니.

인도네시아 정부가 찌아찌아족의 한글 도입을 공식 승인했단다. 8만여명의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표기문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알파벳만으론 찌아찌아어의 단어나 문장을 표기할 수 없어 한글을 쓰게 했단다. 찌아찌아족의 한글 사용이 다른 소수민족으로도 번질 전망이다. 사라져갈 위기의 소수민족 언어를 살려내겠다는 인도네시아의 고심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한글의 과학성과 우수성이 입증된 사례로 반길 일이다.

그런데 그저 좋아만 할 일은 아닌 것 같다. 한글 승인을 문화침략으로 보며 반발하는 인도네시아인들도 적지 않단다. 때마침 중국 광저우(廣州) 시민들의 광둥어(廣東語) 지키기 시위가 한창이다. 광저우 지역방송에 중국 표준어 푸퉁화(普通話·만다린)를 쓰도록 강요한 중국 정부에 맞서 광둥어와 광둥 문화유산을 지켜내겠다는 집단의 반발이다. 고대 로마가 ‘팍스 로마나’의 대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던 데는 점령·지배지의 문화·언어 존중과 보존이 숨어 있다. 한글은 지배의 문자가 아니라 소통의 문자라야 한다.

김성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0-07-28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