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인가요.” “네, 누구시죠.” “대전시 K 계장인데…, 야 개××야.”
대전시 건설관리본부 K 계장의 전화가 걸려온 것은 지난 27일 오전 8시50분쯤이었다. 대전시가 전임 시장이 추진한 대형 교량건설 사업들의 준공식을 하지 않는 것에 의혹을 제기한 이 날짜 서울신문 ‘전임 시장 사업이라고 외면?’이란 기사를 보고서였다.
그는 거칠고 줄기차게 취재원이 누구인지 추궁했다. 기자가 ‘취재원 보호는 기자의 의무다. 알려줄 수 없다.’고 하자 “야, ××놈아. 너 당장 (시청)○○층으로 올라와.”라며 욕설을 퍼부었다. 기사에 어떤 잘못이 있는지를 따지는 게 아니었다. ‘왜 이런 기사를 써 나를 곤란하게 하느냐.’는 투였다. 상관인 과장의 전화도 걸려왔다. 과장 역시 “누가 ‘전임 시장 사업이라서 외면했다.’고 말했느냐.”고만 되물었다. 이어 “그 사람 알려주면 당장 ○○(징계의 한 종류)시키겠다.”고 윽박질렀다.
두 사람 모두 취재원이 누구인지만 파악하고 싶어했다. 기사에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설명하고 항의도 할 수 있다. 바로 잡아달라고 하는 것도 마땅한 요구이다. 기자도 잘못이 있으면 마땅한 책임을 져야 한다.
하지만 이날 대전시 공무원의 ‘언어테러’는 백번 생각해도 온당한 방법이 아니다. 공직사회를 견제하는 기자에게 이 정도라면 시민들을 대하는 태도는 불 보듯 뻔할 것이다.
민선5기 초기다. 지자체 공무원들이 단체장에게 잘 보이려고 충성경쟁을 할 때다. 대전시처럼 단체장이 바뀐 곳에서는 실제 그렇다는 말도 들린다. ‘단체장의 왕국’이란 비판을 받는 지자체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지자체 공무원들이 친절해지는 등 대민서비스가 나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에 없던 봉변을 당하고 보니 대전시 공무원의 대민 서비스는 거꾸로 가는 게 아닌지 걱정된다. ‘단체장의 행정철학이 결국 공무원의 대민 서비스·언론대응 자세도 결정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
sky@seoul.co.kr
이천열 사회2부 차장
그는 거칠고 줄기차게 취재원이 누구인지 추궁했다. 기자가 ‘취재원 보호는 기자의 의무다. 알려줄 수 없다.’고 하자 “야, ××놈아. 너 당장 (시청)○○층으로 올라와.”라며 욕설을 퍼부었다. 기사에 어떤 잘못이 있는지를 따지는 게 아니었다. ‘왜 이런 기사를 써 나를 곤란하게 하느냐.’는 투였다. 상관인 과장의 전화도 걸려왔다. 과장 역시 “누가 ‘전임 시장 사업이라서 외면했다.’고 말했느냐.”고만 되물었다. 이어 “그 사람 알려주면 당장 ○○(징계의 한 종류)시키겠다.”고 윽박질렀다.
두 사람 모두 취재원이 누구인지만 파악하고 싶어했다. 기사에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설명하고 항의도 할 수 있다. 바로 잡아달라고 하는 것도 마땅한 요구이다. 기자도 잘못이 있으면 마땅한 책임을 져야 한다.
하지만 이날 대전시 공무원의 ‘언어테러’는 백번 생각해도 온당한 방법이 아니다. 공직사회를 견제하는 기자에게 이 정도라면 시민들을 대하는 태도는 불 보듯 뻔할 것이다.
민선5기 초기다. 지자체 공무원들이 단체장에게 잘 보이려고 충성경쟁을 할 때다. 대전시처럼 단체장이 바뀐 곳에서는 실제 그렇다는 말도 들린다. ‘단체장의 왕국’이란 비판을 받는 지자체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지자체 공무원들이 친절해지는 등 대민서비스가 나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에 없던 봉변을 당하고 보니 대전시 공무원의 대민 서비스는 거꾸로 가는 게 아닌지 걱정된다. ‘단체장의 행정철학이 결국 공무원의 대민 서비스·언론대응 자세도 결정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마저 든다.
sky@seoul.co.kr
2010-08-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