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0분의1은 답이 얼마로 나올까? 이것은 수학적으로 불능이라고 한다. 반대로 1분의0은 부정이라고 말하고 있다. 0분의1이라고 하는 것은 불능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 아니다. 그러면 여기에서 불가능한 것을 왜 복잡하게 주제로 내 걸었을까? 그 연유를 차분히 찾아보자.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수학의 이 공식을 조금 더 자세히 분석해 보자. 분모가 1이고 분자도 1인 것은 그 몫이 1이다. 즉 1분의1은 1이 된다. 그런데 분모가 2, 3, 4처럼 커지면 그 결과는 0.5, 0.33, 0.25로 오히려 적어진다. 반대로 분모가 0.9, 0.5, 0.1처럼 적어지면 몫은 점점 커진다. 이처럼 분모가 0에 무한히 가까워지면 그 몫은 무한대가 된다. 그래서 완전히 0이 되면 불능이 되는 것이다. 1분의1보다는 2분의1이 적고 3분의1은 더 적어진다. 반대로 분모가 무한히 0에 가까워지면 오히려 몫은 커지면서 무한대가 된다. 이점을 우리는 깊이 음미해 보아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분모는 바로 자기 자신을 말한다. 즉 자기를 의식하고 드러내고 과시하는 등 높이려고 노력하면 분모가 커져서 오히려 삶의 결산은 적어진다. 반대로 자기를 희생하고 낮추고 0이 되도록 무한히 애쓰면 쓸수록 오히려 나오는 몫은 풍성해진다.
행복하려면 나를 놓고, 불행하려면 자기에 매달려라. 그래서 성자들은 모두 무아를 역설하였다. 무아 봉공이라는 것도 분모는 무아가 되고 분자는 봉공으로 하자는 것이다. 즉 자기를 없애고 공중을 받들면 불능의 인생을 살며 오히려 행복해진다. 분모가 0이 되지 않아도 0이 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기쁨과 희망은 자란다. 무소유 주장이 바로 자아를 0으로 가져가는 것이다.
맹자는 “태산을 옆에 끼고 북해를 뛰어넘는 것은 능치 못하다 그러나 나이 많은 사람을 위하여 지팡이 하나 꺾어 주는 것은 하지 않는 것이지 불능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0분의1의 실천은 일상의 작은 일에서부터 실천할 수 있다.
이 시대를 함께하는 사람들의 삶의 실상을 살펴보자. 조금이라도 더 소유하고 그래서 자기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이다. 더 좋은 차, 더 빛나는 옷, 더 좋은 명품을 가져서 행복을 추구한다. 의식주 세 가지를 통해서 아름다운 인생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런 사람이 과연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인가. 나는 아니라고 부정한다. 그것은 바로 여기서 강조하는 분모를 키워 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욕망이란 가지면 가질수록 더욱 커지는 것이다. 만족이라는 한계가 실제로 살아 보면 존재하지 아니한다. 가질수록 더 많은 것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인간생활이다. 이런 삶의 모습에서 어떻게 우리가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나는 0분의1 인생을 살자고 주장하고 싶다.
얼마 전 뉴스에 ‘옆집 사람이 행복해 보여서 범행을 하였다.’는 보도를 보았다. 요사이 말로 묻지 마 살인이다. 상대적 빈곤과 상대적 박탈감이 가져다 준 결과일 것이다. 이렇게 비교만 해 나가면 욕망이란 한이 없다. 끝없는 욕망의 구렁텅이에서 헤어나지 못하여 결국은 다른 사람의 생명을 빼앗는 지경까지 다다른 것이다. 욕망이 얼마나 무서운가를 보여 주는 실례이다. 이처럼 욕망의 끝없는 추구는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생명경시 현상까지 보여 준다.
0분의1 인생! 참 좋은 말이다. 말은 좋지만 그 실천은 부단한 자기절제를 요구한다.
자기를 절제하고 오히려 남을 위해서 노력할 때 우리가 추구하는 자기 행복은 찾아온다.
0분의1 인생이 절대로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주위에서 사소한 일이라도 나보다는 상대를 먼저 생각하여 배려해 주자. 반대로 자기의 욕망을 위해서 상대를 폄하하고 무시할 때 그 실천은 멀어진다. 우리 사회가 이 0분의1 인생을 인식하여 좀 더 아름답고 인정이 넘치는 곳이 되었으면 한다. 그래서 욕망을 절제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그런 사회가 되기를 염원한다.
이성택 학교법인 원광학원 이사장
여기서 말하는 분모는 바로 자기 자신을 말한다. 즉 자기를 의식하고 드러내고 과시하는 등 높이려고 노력하면 분모가 커져서 오히려 삶의 결산은 적어진다. 반대로 자기를 희생하고 낮추고 0이 되도록 무한히 애쓰면 쓸수록 오히려 나오는 몫은 풍성해진다.
행복하려면 나를 놓고, 불행하려면 자기에 매달려라. 그래서 성자들은 모두 무아를 역설하였다. 무아 봉공이라는 것도 분모는 무아가 되고 분자는 봉공으로 하자는 것이다. 즉 자기를 없애고 공중을 받들면 불능의 인생을 살며 오히려 행복해진다. 분모가 0이 되지 않아도 0이 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기쁨과 희망은 자란다. 무소유 주장이 바로 자아를 0으로 가져가는 것이다.
맹자는 “태산을 옆에 끼고 북해를 뛰어넘는 것은 능치 못하다 그러나 나이 많은 사람을 위하여 지팡이 하나 꺾어 주는 것은 하지 않는 것이지 불능은 아니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0분의1의 실천은 일상의 작은 일에서부터 실천할 수 있다.
이 시대를 함께하는 사람들의 삶의 실상을 살펴보자. 조금이라도 더 소유하고 그래서 자기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이다. 더 좋은 차, 더 빛나는 옷, 더 좋은 명품을 가져서 행복을 추구한다. 의식주 세 가지를 통해서 아름다운 인생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런 사람이 과연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인가. 나는 아니라고 부정한다. 그것은 바로 여기서 강조하는 분모를 키워 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욕망이란 가지면 가질수록 더욱 커지는 것이다. 만족이라는 한계가 실제로 살아 보면 존재하지 아니한다. 가질수록 더 많은 것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것이 인간생활이다. 이런 삶의 모습에서 어떻게 우리가 행복을 추구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나는 0분의1 인생을 살자고 주장하고 싶다.
얼마 전 뉴스에 ‘옆집 사람이 행복해 보여서 범행을 하였다.’는 보도를 보았다. 요사이 말로 묻지 마 살인이다. 상대적 빈곤과 상대적 박탈감이 가져다 준 결과일 것이다. 이렇게 비교만 해 나가면 욕망이란 한이 없다. 끝없는 욕망의 구렁텅이에서 헤어나지 못하여 결국은 다른 사람의 생명을 빼앗는 지경까지 다다른 것이다. 욕망이 얼마나 무서운가를 보여 주는 실례이다. 이처럼 욕망의 끝없는 추구는 그것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생명경시 현상까지 보여 준다.
0분의1 인생! 참 좋은 말이다. 말은 좋지만 그 실천은 부단한 자기절제를 요구한다.
자기를 절제하고 오히려 남을 위해서 노력할 때 우리가 추구하는 자기 행복은 찾아온다.
0분의1 인생이 절대로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주위에서 사소한 일이라도 나보다는 상대를 먼저 생각하여 배려해 주자. 반대로 자기의 욕망을 위해서 상대를 폄하하고 무시할 때 그 실천은 멀어진다. 우리 사회가 이 0분의1 인생을 인식하여 좀 더 아름답고 인정이 넘치는 곳이 되었으면 한다. 그래서 욕망을 절제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그런 사회가 되기를 염원한다.
2010-12-1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