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경춘선/노주석 논설위원

[씨줄날줄]경춘선/노주석 논설위원

입력 2010-12-22 00:00
수정 2010-12-2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듣는 순간 가슴이 뭉클해지는 단어가 있다. 열차다. 팍팍한 현재보다 아련한 추억을 연상시키는 지명이 있다. 춘천이다. 경춘선은 서울을 떠나 공지천 물안개를 찾아가는 길이다. 그래서 경춘선이 낭만, 추억과 동의어로 쓰이나 보다. 경춘선 덕택에 춘천은 ‘청춘의 성지’로 군림했다. 작가 이외수와 오정희가 사는 축복 받은 땅이기도 했다.

시인 나호열은 ‘춘천 가는 길’을 “속으로 울음 감추고서/울음 꼬옥 껴안고서/약속도 없이/천천히 걸어가는 거라고…”라고 풀었다. 가수 김현식은 “춘천 가는 기차는 나를 데리고 가네/오월의 내 사랑이 숨 쉬는 곳/지금은 눈이 내린 끝없는 철길 위에/초라한 내 모습만 이 길을 따라가네”라고 노래했다. 유안진 시인은 “…춘천이 그렇지/까닭도 연고도 없이 가고 싶지/…왜 느닷없이 불쑥불쑥 춘천을 가고 싶어지지/가기만 하면 되는 거라/가서, 할 일은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는 거라/…봄은 산 너머 남촌 아닌 춘천에서 오지/…춘천이니까”라고 ‘춘천은 가을도 봄이지’에서 예찬했다.

앨범을 뒤지다 보면 색 바랜 흑백사진들을 만나게 된다. 청량리역 시계탑을 배경으로 기타를 든 일행 속엔 담배를 꼬나문 우스꽝스러운 차림의 더벅머리 청년이 서 있다. 강이 보이는 대성리나 강촌, 춘천호반에 청년의 모습은 어김 없이 나타난다. 군복을 다려 입은 군인도 보인다. 젊은 날의 초상이 경춘선과 경춘가도에 녹아 있다.

1939년 사유(私有)철도로 처음 건설됐고, 한국전쟁 기간 중에는 병력과 보급물자를 운송했다. 60년대에는 화천 등지에서 훈련 받은 파월장병이 이 열차를 타고 서울을 거쳐 인천항으로 갔다. 70년대 이후는 입영열차로, MT 열차로 청춘과 사랑과 낭만을 실어날랐다. 상행과 하행이 교차할 때 대기시간을 느긋하게 즐겼다. 계란을 파는 홍익회 직원의 ‘삶은달걀’ 외침을 ‘삶은 달걀’이라고 희화했던 시절이었다.

지난 20일 오후 10시 03분 청량리발 남춘천행 무궁화 열차를 마지막으로 경춘선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71년 동안 쉼 없이 달리던 단선 기차는 생명을 다했다. 서울 상봉역에서 춘천역까지 1시간대에 주파하는 신형 복선 전철이 대신한다. 전철의 등장으로 수도권의 개념마저 바뀔 모양이다. 강원도 도청소재지 춘천의 수도권 편입 얘기를 듣게 되다니…. 이제 느리게 가고 싶어도 느리게 갈 수 없다. 대기할 수도 없다. 편리해지는 대가로 자꾸 추억을 잃는 것 같아 마음이 아리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2010-12-2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