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혜리 문화부 선임기자
너무 미안하고 당황스러워 황급히 문을 닫고 돌아섰다. 어미새와 아비새의 모습이 내내 뇌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생각은 세월호로 이어졌다. 하물며 작은 새도 자기 새끼를 생각하는 마음이 이리도 극진한데, 사랑으로 낳아 기른 자식들을 하루아침에 잃은 부모의 마음은 어떨까. 나의 짧은 식견으로는 도저히 헤아릴 수 없는 크나큰 아픔이다. 찬란한 미래를 앞에 두고 저세상으로 간 그 순한 영혼들, 그들을 잃은 부모들을 생각하면 그저 막막할 뿐이다. 부모들이 가장 화가 나고, 슬프고, 가슴 아픈 것은 배가 무참히 가라앉는 걸 두 눈으로 보면서도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는 것, 단 한 명의 생명도 구하지 못했다는 무력감과 죄책감이라고 한다. 시간이 흐른들 그 참담함은 떨쳐 버릴 수가 없을 것이다. 그들이 피눈물을 흘리고도 모자라 이런 뼈아픈 자책감과 슬픔을 안고 살아야 할 이유는 애초에 없었다. 자식을 사랑으로 키운 것이 죄인가.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지 내일이면 꼭 한 달이다. 사망 281명, 실종 23명이라는 숫자가 여전히 깊은 멍처럼 남아 우리를 아프게 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함께 슬퍼해 주고, 함께 분개하는 것뿐이다. 완전히 치유되기는 어렵겠지만 그들에게 힘과 위안을 주어야 한다. 마치 공모한 듯이 서로 눈치만 보다가 골든타임을 놓치고, 귀중한 생명을 앗아가게 만든 보신주의자들, 눈앞의 이득만 따지며 생명을 경시한 사람들 모두의 진정성 있는 사과가 그들을 조금이나마 위로해 줄 것이다. “무슨 나라가 이 모양인가”라는 말을 하기도 지쳤지만 착한 백성은 나라님을 믿는 것 외엔 도리가 없다. 그런 백성을 배신하지 말아야 한다.
‘성실하면 나타나고, 나타나면 뚜렷해진다. 뚜렷해지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상대를 감동시킬 수 있다. 감동시킬 수 있으면 변하게 할 수 있다. 변하게 할 수 있으면 감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극진한 성(誠)이라야 감화시킬 수 있다.’ 중용(中庸) 23장에 나오는 말이다. 녹을 먹는 것을 어려워하며, 백성의 고통에 아파하면서 성심을 다해 봉사하는 정치인과 관료들을 보고 싶다.
lotus@seoul.co.kr
2014-05-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