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용 경북 교육청 부교육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4/01/12/SSI_20140112195049_O2.jpg)
![정일용 경북 교육청 부교육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4/01/12/SSI_20140112195049.jpg)
정일용 경북 교육청 부교육감
필자가 프랑스 근무 때 어린 아이들이 세발자전거를 탈 때에 언제 어디서나 늘 안전모와 보호대를 착용하고 타는 것을 보았다.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어려서부터 안전의식을 갖도록 교육을 한 결과, 어른이 되어서도 자전거를 탈 때에 자연스럽게 안전모와 야광 옷을 입고 탄다. 자신의 생명을 존중할 줄 아는 사람이 타인의 생명도 존중할 줄 안다. 필자는 자동차 운전 때마다 오늘도 무사함을 기도하고, 무사히 도착하면 감사의 기도를 드린다. 자동차를 운전할 때 아찔한 고비를 몇 번씩 넘기곤 하기 때문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안전에 대해 우리가 얼마나 무관심하고 충분한 투자를 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우리나라가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2.9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교통사고 사망률이 제일 높은 이유 중 하나다.
안전의식은 어려서부터 교육을 통해 습관이 형성되어야 생활화될 수 있다. 자전거를 타는 많은 학생들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거나 야광 옷을 입지 않아 사고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가정에서나 학교에서 안전의식이 생활화되도록 지도해야 한다. 안전의식 확산은 일상에서 경험하는 작은 규칙부터,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신호등을 잘 지키고 자전거를 탈 때, 나이 불문하고 안전모 착용과 야광 옷을 입도록 하거나 차선 변경 시에는 깜박이를 반드시 켜도록 하는 것 등이다. 어려서부터 안전의식이 생활화돼야 세월호 같은 참사를 예방할 수 있고, 타이타닉호의 스미스 선장 같은 책임감 있는 선장을 키울 수 있다.
우리나라에도 진정한 선장이나 사표가 되는 선생님들이 많다. 24년 전 하나호 유정충 선장은 동료 선원 전원을 구하고 본인은 배에 남아 구조신호를 보내다 배와 함께 유명을 달리하면서 진정한 선장의 정신을 보여주었다. 이번 세월호 참사 시에도 선장은 아니었지만 여러 단원고 선생님들과 승무원 박지영씨 등은 자신들의 생명보다 다른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다 침몰하는 배와 함께 유명을 달리하며 진정한 책임의식을 보여주었다.
자신의 생명을 존중할 줄 알면 타인의 생명도 소중히 여기게 된다. 안전에 대한 투자는 필수이며 낭비가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돼야 한다. 안전이 보장되지 않으면 모든 사회·교육 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맨 먼저 해야 할 일 중의 하나가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일이다. 자녀를 태우고 운전하면서 안전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자녀들의 안전 의식이 생겨날 수 없다. 자녀들이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원한다면 우리 모두 안전에 대해 관심을 갖고 투자해야 하며 솔선수범해야 한다. 안전 교육도 강화돼야 한다. 모두가 힘을 합쳐 안전한 대한민국호를 만들어야 한다.
2014-05-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