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왜 꿈을 갖게 하는 교육이 중요한가/정일용 경북교육청 부교육감

[글로벌 시대] 왜 꿈을 갖게 하는 교육이 중요한가/정일용 경북교육청 부교육감

입력 2014-06-30 00:00
수정 2014-06-30 0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육의 목적은 개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하여 사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도록 도와주는 데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개개인의 잠재력을 잘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개개인의 다양한 잠재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오랫동안 자녀를 키워온 부모들도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을 정도다.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겪으며 자신의 잠재력을 파악하거나, 때로는 자신의 잠재력을 알고 있지만 부모, 주위의 친구나 사회적 여건 등에 따라 다른 길을 택하기도 한다. 두 번째는 개인별로 다양한 잠재력과 수준에 따라 개인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여러 가지 제약이 있다. 개인별 맞춤형 교육을 충실하게 제공하려면 엄청난 교육재정을 필요로 한다. 수많은 교원과 학교시설 및 교육기자재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정일용 경북교육청 부교육감
정일용 경북교육청 부교육감
스탠퍼드 대학의 월터 미셸 교수가 1960년대 말에 발표한 유명한 마시멜로 실험이란 것이 있다. 마시멜로는 초코파이보다 더 달콤한 것으로 아이들이 무척 좋아한다. 미셸 교수는 만 5세 어린아이들에게 마시멜로 한 조각을 주면서 15분을 먹지 않고 견디면 한 개를 더 준다고 약속하지만, 대다수의 어린아이들은 15분을 참지 못하고 먹어 버렸다. 미셸 교수는 이 실험에 참여했던 어린아이들이 10년, 15년 후에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계속 추적하여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15분을 견딘 어린아이들 중 다수는 학교도 잘 다니고 대인관계도 좋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15분을 견디지 못하고 먹은 학생들은 대부분 학교 중도탈락, 마약이나 술 등의 문제로 대인관계도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미셸 교수는 이러한 차이가 어디서 나오는가를 연구하여, 그것을 만족지연능력이라고 하였다.

요즘 학생들에게 왜 공부하느냐를 물어보면 “자신의 꿈을 달성하기 위하여”라기보다는 “부모님이 학교에 가라고 해서” 또는 “대학에 가기 위하여”라고 대답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학력평가(PISA)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높지만 학업 흥미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부도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고 과정일 뿐이다.

결국 자신의 꿈이 분명해야만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를 알게 되고, 그러면 힘들어도 극복하려는 의지가 생기고 자신의 능력이 발전하는 것을 보면서 즐겁게 할 수 있다. 그래서 꿈을 갖고 그것을 이루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천재는 노력하는 자를 이기지 못하고,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이기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자신이 즐기면서 할 수 있는 분야가 있다면 그것을 택하는 것이 성공확률이 높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꿈을 갖고 공부하는 학생이 많으면 많을수록 즐겁게 공부를 할 것이고, 즐겁게 공부하는 학생이 많을수록 학교는 즐겁고 행복한 학교가 되어 학교 폭력문제도, 학교 부적응 문제도 해소될 것이다. 그런 면에서 자유학기제 같은 진로를 탐색하고 꿈을 찾고 키우는 교육과정은 매우 의미 있는 교육활동이라고 본다. 그래서 다양한 체험활동과 독서를 통하여 꿈을 찾고 키우는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아울러 학부모 교육을 통하여 학부모들에게 자녀의 진로와 꿈을 갖게 하는 교육이 단순히 성적만 추구하는 교육보다 훨씬 더 효과적임을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들이 꿈을 찾고 꿈을 키우도록 우리 모두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면 사교육비 과열문제도, 학교폭력 문제도, 창의적 인재 양성문제도 해결될 것이다.
2014-06-3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