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과학사학자인 앨프리드 W 크로스비는 저작인 ‘태양의 아이들’에서 인류는 태양에너지의 자식들이라고 했다.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고, 동물은 그 식물을 먹어 생명을 영위한다. 이 과정에서 생겨난 칼로리는 땅 속에 고스란히 갇혀 석탄과 석유 등으로 남겨진다. 자연에너지인 수력과 풍력 역시 태양에 의한 에너지 순환으로 생겨났다고 책은 설명한다.
인간이 사냥을 하고 씨를 뿌리거나 거두고, 피라미드를 짓고 자동차와 로켓을 움직이며, 차 마실 물을 끓이고, 우리가 지금 읽고 있는 신문을 제작하는 에너지가 모두 태양에서 나왔다. 인류의 역사 자체가 바로 태양에너지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고민해 온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태양은 태양계 전체 질량의 99.86%를 차지한다. 태양 중심부에서 일어난 핵융합의 결과로 발생한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우주 곳곳에 퍼져가고 있다. 빛은 태양 표면을 떠난 뒤 8분 만에 1억 5000만㎞를 날아 지구에 도착한다.
지구는 태양이 내뿜는 빛 가운데 불과 5억분의1을 받아 쓴다. 그럼에도 지구가 1초간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는 42조㎉나 된다. 지구가 1시간 동안 받는 태양에너지의 양은 전 세계 사람들이 1년간 사용하는 에너지의 총량에 해당한다.
인류가 석유와 석탄 등을 캐 쓰다 보니 이제 땅 속에 있던 ‘태양의 아이들’은 조만간 사라질 것 같다. 이제 인류가 계속해서 살아 남으려면 태양에너지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다행히도 이를 위한 기술과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얼마 전 한국태양광산업협회는 ‘올해 전 세계적으로 10기가와트(GW)의 태양광 시대가 열린다.’고 밝혔다. 국내외 태양광 전문 조사기관 6곳의 전망치를 종합한 결과다. 가장 높은 전망치인 16.6GW를 기준으로 할 때 태양광 발전을 통해 550만가구가 1년간 쓸 수 있는 전기를 얻게 된다. 원자력발전소 13개가 만들어내는 전기량에 해당한다.
유럽태양광산업협회(EPIA)에서는 신규 태양광 발전 시장 규모가 2012년 19GW, 2014년 30GW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평균 성장률이 20%가 넘는다. 10년 전인 2000년만 해도 278메가와트(㎿)에 불과했던 세계 태양광시장의 규모와 비교해보면 그야말로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실감난다.
동화처럼 세상을 획기적으로 바꿀 프로젝트들도 추진되고 있다. 버려진 땅으로만 여겼던 사하라 사막 주변에 거대 태양열발전소 수십곳을 건설해 유럽 대륙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충당하겠다는 ‘데저텍 프로젝트’, 도로 표면 아스팔트에 내리쬐는 햇빛을 태양광 패널로 잡아 전기를 만들겠다는 ‘솔라 로드웨이 프로젝트’, 24시간 해가 지지 않는 우주 공간에서 전기를 생산해 지구로 전송하겠다는 ‘솔라렌’ 프로젝트 등 종류도 다양하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태양에너지 활용 기술을 실용화하는 데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가져왔다. 전반적인 기술력이 우리보다 떨어지는 중국이 이미 태양광발전 소재 개발에서는 우리보다 10년 이상 앞서 세계를 제패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최근 들어 국내 기업들도 앞다퉈 태양광사업에 대한 연구와 투자에 나서고 있어 희망이 보인다. 필자가 몸 담고 있는 한화케미칼 역시 올해 초 울산 공장에서 30㎿ 규모의 태양전지 상업생산을 시작했다. 이달 초에는 태양전지 모듈 생산능력 세계 4위인 나스닥 상장회사 ‘솔라펀파워홀딩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회사를 태양광 일류기업으로 만들고 싶은 필자의 꿈이 한 발짝씩 다가오는 느낌이다.
자고 일어나면 어김없이 떠오르는 태양은 ‘영원히’ 지지 않는 에너지원이다. 우리 기업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 앞으로 다가 올 ‘태양의 시대’를 정복할 수 있었으면 한다.
홍기준 한화케미칼 사장
태양은 태양계 전체 질량의 99.86%를 차지한다. 태양 중심부에서 일어난 핵융합의 결과로 발생한 엄청난 양의 에너지가 빛의 형태로 우주 곳곳에 퍼져가고 있다. 빛은 태양 표면을 떠난 뒤 8분 만에 1억 5000만㎞를 날아 지구에 도착한다.
지구는 태양이 내뿜는 빛 가운데 불과 5억분의1을 받아 쓴다. 그럼에도 지구가 1초간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는 42조㎉나 된다. 지구가 1시간 동안 받는 태양에너지의 양은 전 세계 사람들이 1년간 사용하는 에너지의 총량에 해당한다.
인류가 석유와 석탄 등을 캐 쓰다 보니 이제 땅 속에 있던 ‘태양의 아이들’은 조만간 사라질 것 같다. 이제 인류가 계속해서 살아 남으려면 태양에너지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다행히도 이를 위한 기술과 장치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얼마 전 한국태양광산업협회는 ‘올해 전 세계적으로 10기가와트(GW)의 태양광 시대가 열린다.’고 밝혔다. 국내외 태양광 전문 조사기관 6곳의 전망치를 종합한 결과다. 가장 높은 전망치인 16.6GW를 기준으로 할 때 태양광 발전을 통해 550만가구가 1년간 쓸 수 있는 전기를 얻게 된다. 원자력발전소 13개가 만들어내는 전기량에 해당한다.
유럽태양광산업협회(EPIA)에서는 신규 태양광 발전 시장 규모가 2012년 19GW, 2014년 30GW 이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평균 성장률이 20%가 넘는다. 10년 전인 2000년만 해도 278메가와트(㎿)에 불과했던 세계 태양광시장의 규모와 비교해보면 그야말로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실감난다.
동화처럼 세상을 획기적으로 바꿀 프로젝트들도 추진되고 있다. 버려진 땅으로만 여겼던 사하라 사막 주변에 거대 태양열발전소 수십곳을 건설해 유럽 대륙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충당하겠다는 ‘데저텍 프로젝트’, 도로 표면 아스팔트에 내리쬐는 햇빛을 태양광 패널로 잡아 전기를 만들겠다는 ‘솔라 로드웨이 프로젝트’, 24시간 해가 지지 않는 우주 공간에서 전기를 생산해 지구로 전송하겠다는 ‘솔라렌’ 프로젝트 등 종류도 다양하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태양에너지 활용 기술을 실용화하는 데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가져왔다. 전반적인 기술력이 우리보다 떨어지는 중국이 이미 태양광발전 소재 개발에서는 우리보다 10년 이상 앞서 세계를 제패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최근 들어 국내 기업들도 앞다퉈 태양광사업에 대한 연구와 투자에 나서고 있어 희망이 보인다. 필자가 몸 담고 있는 한화케미칼 역시 올해 초 울산 공장에서 30㎿ 규모의 태양전지 상업생산을 시작했다. 이달 초에는 태양전지 모듈 생산능력 세계 4위인 나스닥 상장회사 ‘솔라펀파워홀딩스’를 인수하기도 했다. 회사를 태양광 일류기업으로 만들고 싶은 필자의 꿈이 한 발짝씩 다가오는 느낌이다.
자고 일어나면 어김없이 떠오르는 태양은 ‘영원히’ 지지 않는 에너지원이다. 우리 기업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 앞으로 다가 올 ‘태양의 시대’를 정복할 수 있었으면 한다.
2010-08-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