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마감 후] 국민의힘은 혁신할 수 있을까

[마감 후] 국민의힘은 혁신할 수 있을까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4-04-23 03:34
업데이트 2024-04-23 03: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 정도면 망하는 게 정의다.”

22대 총선 레이스 막판에 이르러 대통령의 불통이 최고조에 이르자 보수 정당을 취재하는 동료 기자들과 이렇게 자조했다. 시대의 변화를 읽지 못하고 그 안에서 기회를 찾지 못한 수많은 기업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던 것처럼 변화하는 민심을 읽지 못하는 정당과 정부는 존속하기 힘들다.

선거 참패 이후 여권 정치인들 입에서 매일같이 ‘혁신’이란 단어가 오르내린다. 국민이 내린 회초리를 달게 받아 뼈를 깎는 쇄신을 통해 사랑받는 정당으로 거듭나겠다는 각오다. 그런데 이들이 언급하는 ‘혁신형 비상대책위원회’, ‘수도권 지도부론’, ‘당원 100% 룰 변경’, ‘집단지도체제 회귀’ 같은 것들이 진짜 혁신인지는 와닿지 않는다.

그런다고 국민의힘이 바뀔까. 경영학이나 마케팅 개론에서는 모든 조직의 목적을 ‘고객가치 창조’로 정의한다.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데 실패하면 아무리 위대한 목적을 설정해도 그 조직은 성과를 낼 수 없다는 설명이다. 이를 정당 정치에 대입해 보자.

유권자들은 우리 사회를 좀더 나은 곳으로 만들고자 정치인들이 정치력을 발휘하길 원한다. 그런 정치인을 내 손으로 뽑는다는 ‘정치적 효능감’이 유권자를 투표장으로 이끈다. 그런데 이번 정부와 여당은 지난 정부의 불통과 내로남불에 질려 기회를 준 유권자들의 기대를 똑같은 불통과 내로남불로 짓밟았다.

현역 불패, 공천 번복 등 공천 과정에서 쇄신 노력은 좀체 보이지 않았고, 조금 다를 것이라 기대했던 한동훈 비대위원장 역시 지지율 반등의 모멘텀을 찾지 못하자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에 몰두했다. 강성 지지층도 마음이 뜨긴 마찬가지였다. 당정이 충돌하고 봉합의 모양새를 취할 때마다 보수진영 리더십의 무능만 노출하는 결과를 낳았다. 애초 한 위원장을 등장시킨 것도 안이했다. 혁신은 그저 불리한 전세를 단숨에 뒤집을 만한 ‘한 방’ 같은 것이 아니다.

정책 방향은 옳았으나 부족했다는 전형적인 ‘하지만(But) 사과’, 나는 누굴 심판할 수 있다는 오만함, 선거철 급조한 번지르르하고 허황된 공약, 상대 진영의 실수에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수준 정도론 ‘사랑받는 정당’이 될 수 없다. 말마따나 새 얼굴로 혁신형 비대위를 만들면 과연 국민이 감동할까. 이제 와 대통령이 야당 대표를 만난들 국민이 감동할까. 이를 통해 얻고자 하는 성과는 무엇인가. 이 성과가 국민 가치 창조에 연결되는가.

국민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국민이 원하는 지점을 충실하게 고민하는 일, 여기에 미처 깨닫지 못한 잠재된 필요까지 발굴해 해결하는 일이 정부·여당이란 조직이 유권자란 고객에게 제공해야 할 진짜 가치이고 혁신이다. 이런 본질에 대한 구성원의 성찰과 개념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는 무엇을 혁신하겠다고 해도 유권자의 감동을 끌어낼 수 없다.

당선인과 낙선인이 모여 선거 참패에 대한 각종 분석과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있다. 관련 기사에 한 네티즌은 이렇게 댓글을 달았다. “너희들 결론은 결국 ‘고출력 스피커’를 많이 틀어라인데, 국민의힘은 내부적으로 국민 대다수를 위해 진정성 있는 정책을 논의한 적이 있냐. 문제는 바로 이거다, 이 바보들아!”

명희진 정치부 기자

이미지 확대
명희진 정치부 기자
명희진 정치부 기자
2024-04-23 2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