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원칼럼] 일제고사 논란과 사회제도로서 교육의 가치/정인학 언론인

[객원칼럼] 일제고사 논란과 사회제도로서 교육의 가치/정인학 언론인

입력 2010-07-13 00:00
수정 2010-07-13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번에도 일제고사 논란이 그냥 지나치질 않았다. 일제고사가 한국교육의 본질이 되었다. 직선 교육감을 뽑았던 터라 소리가 요란하다. 한편에서 일제고사를 실시하라 지시하고 다른 쪽에선 학생에게 선택권을 줘야 한단다. 일제고사가 도입된 2008년과 똑같은 주문만 되뇐다. 하나같이 학생들을 위하고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위한다고 목청을 높인다. 교육의 본질적인 사회적 역할은 온데간데 없고 그들만의 아집만 그림자를 짙게 드리우고 있다.

이미지 확대
정인학 언론인
정인학 언론인
교육은 다음세대를 사회화하는 사회제도다. 교육은 인류의 생존과 함께 시작되었다. 석기시대 아버지는 아들에게 돌 다듬는 법을 가르쳤고, 농경시대 어머니는 딸에게 길쌈 법을 가르쳤다. 사회가 발달하면서 교육은 전문가의 몫이 되었고 그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가치와 지식 그리고 미래의 비전과 기술을 가르쳤다. 교육은 시대, 지역에 따라 그 방식을 달리해 왔지만 언제 어디서나 국가 사회의 물리적 기반을 강화하고, 시대를 넘어 관통할 수 있는 가치를 우선 전수한다는 좌표만은 변함이 없었다. 교육은 개인의 사회화 과정이요, 공동체 전체의 영속성을 담보하는 사회제도였다.

일제고사에 대한 학생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며 일제고사를 사실상 거부하는 주장에 이의 있다. 수험생인 학생은 우리 공동체를 이끌어갈 다음의 세대로 지금 교육의 결정권자가 아니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일제고사 선택권을 줘야 한다면 교육감 투표권도 줘야 한다. 가치관과 세계관이 정립되지 않은 중학교 3학년 학생에게 어떻게 국가 사회라는 공동체의 영속성을 담보하는 교육을 맡긴단 말인가. 솔직해지자. 초·중·고생 인격 운운하지 말아야 한다. 초·중·고생의 생각이나 판단 준거는 그 학생이 좋아하는 교사의 그것과 닮은 꼴이기 십상이다. 일제고사는 학생이 아니라 바로 어른들이 결정해야 한다.

일제고사는 또 학교교육의 비정상화를 유발한다고 지적한다. 일제고사에 대비한다는 0교시수업과 야간자율학습의 교육적 평가는 차치하더라도 0교시수업과 야간자율학습 그 자체가 일제고사 거부의 이유가 못 된다. 학교에서 교사들이 0교시수업이나 야간자율학습을 안 하면 될 것이다. 일제고사가 없다면 0시교시수업도 하지 않을 것이니 일제고사를 거부해야 한다는 논리는 인간의 의지적 영역을 부인하는 자기모순에 빠지게 된다. 일제고사를 거부하려면 일제고사가 사회 제도로서 교육 본래의 가치에 어떻게 어긋난다는 이유를 제시해야 비로소 설득력을 얻게 된다.

그렇다면 일제고사를 실시해야 할 적극적인 가치는 있는가. 일제고사는 단편적 지식의 평가시험으로 창발적인 사고를 키워주는 방법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또 서열화를 조장해 인성계발에 적합하지 않다고도 한다. 흔히 지금을 지식정보화 사회라고 규정한다. 당연히 역량 있는 개인으로 성숙하려면 최소한 지적 기반을 갖춰야 한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고 한다. 확산적 사고력도 최소한의 지식적 기반이 있어야 비로소 가능한 지적 활동이다. 일제고사에 대비하는 학습활동은 절제력과 인내력 그리고 선의의 경쟁의식 등을 일깨워주는 매우 효과적인 인성 교육 수단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한국 교육은 이제 일제고사 논란 따위는 집어 치워야 한다. 한국 교육은 학생들의 다양한 특기와 적성에 맞는 교육을 시행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학교를 다양화하는 한편 학교 교육과정의 다양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청소년들이 국가 사회에서 자기에 맞는 역할을 찾아내 능히 감당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어야 한다. 한국 교육은 의식과 발상의 다원성이라는 교육의 가치에 눈떠야 한다.다음 세대들이 적성과 특기를 살려 자기 길을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는 방안으로 밤을 새워야 한다. 청소년들이 국가 사회의 물리적 기반을 강화하고 문화적 바탕을 살찌우도록 해주어야 한다. 교육은 개인의 사회화 과정이요 공동체의 영속성을 담보하는 사회제도라는 점을 반복해 둔다.
2010-07-13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