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균미의 빅! 아이디어] 행복해집시다

[김균미의 빅! 아이디어] 행복해집시다

입력 2015-01-06 18:02
업데이트 2015-01-06 18: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균미 편집국 부국장
김균미 편집국 부국장
연초부터 터진 참담한 사건으로 사회 분위기가 영 아니다. 행여나 새해에 가졌던 희망은 열흘 아니 일주일도 못 가 무참히 깨졌다.

6일 남들이 ‘부러워하는’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아파트를 소유한 40대 가장이 아내와 14살, 8살 두 딸을 살해하고 도망갔다가 경북 문경에서 경찰에 붙잡혔다. 경찰에 따르면 가장은 3년간 실직 상태였고, 아파트에는 수억원의 근저당이 잡혀 있었다고 한다. 극심한 생활고에 시달리면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범행 동기야 경찰 조사에서 밝혀지겠지만 아무리 경제적으로, 정신적으로 힘들었다고 해도 부인과 자식의 생명까지 빼앗은 가장의 결정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다. 고통스런 세상에 아이들만 남겨 두고 갈 수 없었다고 항변할 수도 있겠지만 자녀의 생명과 인생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잘못된 부정에서 비롯된 비극이다. 여러 기관의 행복도 조사에서 매번 중하위에 그친 대한민국, 그나마 행복한 이유가 가정과 가족 때문이었는데, 새해 벽두부터 전해진 한 가족의 비극은 그래서 우리를 더욱 우울하게 만든다.

‘행복.’ 주위에서 자주 듣는 단어이지만 막상 주변에 행복하다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아니 행복해 보이는 사람이 거의 없다. 학원과 시험공부에 치인 초등학생부터 입시 경쟁에 내몰린 중·고등학생, 취직 전쟁에 피말리는 대학생과 취업준비생, 내 집을 장만하기 위해 주말까지 잊고 사는 30~40대 직장인, 어렵게 낳은 아이를 믿고 맡길 수 있는 보육시설을 찾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일하는 엄마, 남편과 자녀 뒷바라지한다고 이리 뛰고 저리 뛰다 뒤늦게 갱년기 우울증에 걸린 전업 주부들, 퇴직 후에도 노후 준비가 제대로 돼 있지 않아 일자리를 찾아나서는 60~70대….

더욱이 지난해 우리 사회는 304명의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 이후 집단 우울증에 빠져 행복과는 담을 쌓고 살았다. 나 혼자 행복감을 느껴서는 안 될 것 같은 분위기였다. 지난해 12월 30일 발표된 국제 행복도 조사 결과는 이 같은 우리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윈/갤럽인터내셔널이 한국 등 65개국 6만 4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한국은 46위에 그쳤다. 행복하다고 응답한 한국인은 54%로 겨우 절반을 넘었다. 반면 행복하다고 답한 세계인은 1년 전보다 10% 포인트 이상 늘어난 70%였고, 불행하다고 응답한 세계인은 2013년 12%에서 6%로 절반가량 줄었다. 2015년이 더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도 전 세계적으로 53%로 2014년(48%)보다 다소 높아졌지만 유독 한국인은 20%만이 좋아질 것으로 답해 60위에 불과했다.

신년 특집으로 국민행복도를 조사한 한 종합일간지 여론조사도 결과는 비슷하다. 현 정부가 2년 전 출범 당시 내걸었던 ‘국민행복’이라는 국정 과제는 솔직히 자취를 찾을 수가 없다. 빛바랜 지 오래다. 빈부 격차는 악화되고만 있다. 정부가 올해 경제살리기에 올인하는 것도 긍극적으로는 국민행복을 위해서이지만 국민들의 기대는 높지 않다.

그래도 ‘행복’을 우리 사회 새해 화두로 던지고 싶다. 출판계는 연초부터 행복을 키워드로 한 책들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행복은 먼 곳에 있지 않고 가까운 곳에 있고,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달려 있다는 점 등에 방점을 찍은 책들이 주를 이룬다. 행복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다. 행복할 줄 모르면 남들의 행복법을 어깨 너머로라도 보고 자신의 방법을 찾아나가는 과정 또한 행복이다. 지역의 한 중학교에서 3년째 실시하고 있는 ‘행복 수업’은 그런 의미에서 관심을 가져볼 만한 대안이 아닌가 싶다. 나만이 아니라 우리가, 빨리 가는 것만이 아니라 느리게 가더라도 가고 싶은 길을 가는 사람들에게 박수를 보내는 새해가 됐으면 좋겠다.

몇 년 전 유행했던 ‘부자 되세요’라는 한 카드회사의 광고 카피가 생각난다. 힘든 시절 만나는 사람들마다 인사말로 주고받았던 기억이 난다. 올해는 대신 ‘행복해지세요’ ‘행복해집시다’를 인사말로 주고받자. 행복이 가진 전염성에 한 가닥 기대를 걸어 본다.



kmkim@seoul.co.kr
2015-01-07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