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은 흔히 ‘용’으로 상징된다. 그래서 왕의 얼굴은 ‘용안’이었고, 수염은 ‘용수’였다. 그가 앉는 평상은 ‘용상’이라 했으며, 거기서 그가 흘리는 눈물은 ‘용루’라고 불렀다. 그와 관련한 말들 하나하나가 그를 드러내는 것들이어야 했다. 그만큼 왕은 특별하고 절대적인 권위와 권력을 가진 자리였다.
이제 옛적 ‘왕’은 사라진 시대지만, ‘용’은 여전하다. 대통령 선거 후보로 거론되는 이들을 ‘잠룡’이라고 하면서 ‘용’을 불러낸다. 대선 언저리의 ‘잠룡’들에게 권위가 한껏 실린다. 이런 공간은 한동안 시계가 과거로 돌아간 곳이 된다. 선거에서 이긴 ‘잠룡’은 ‘대통령’이 된다.
‘대통령’은 ‘클 대(大)’, ‘거느릴 통(統)’, ‘우두머리 령(領)’으로 되어 있다. 일본이 영어 ‘프레지던트’(president)를 옮기면서 만든 말이다. 한데 ‘프레지던트’는 거창하지 않다. 대표, 의장, 사회자이기도 하다. 이것을 ‘대통령’으로 옮겼다. 시대도 가치관도 달라졌다. 언어도 여기에 맞아야 한다. 지금 우리의 생각이 ‘대통령’이란 명칭을 받아들일 때와 같지 않을 것이다.
wlee@seoul.co.kr
이제 옛적 ‘왕’은 사라진 시대지만, ‘용’은 여전하다. 대통령 선거 후보로 거론되는 이들을 ‘잠룡’이라고 하면서 ‘용’을 불러낸다. 대선 언저리의 ‘잠룡’들에게 권위가 한껏 실린다. 이런 공간은 한동안 시계가 과거로 돌아간 곳이 된다. 선거에서 이긴 ‘잠룡’은 ‘대통령’이 된다.
‘대통령’은 ‘클 대(大)’, ‘거느릴 통(統)’, ‘우두머리 령(領)’으로 되어 있다. 일본이 영어 ‘프레지던트’(president)를 옮기면서 만든 말이다. 한데 ‘프레지던트’는 거창하지 않다. 대표, 의장, 사회자이기도 하다. 이것을 ‘대통령’으로 옮겼다. 시대도 가치관도 달라졌다. 언어도 여기에 맞아야 한다. 지금 우리의 생각이 ‘대통령’이란 명칭을 받아들일 때와 같지 않을 것이다.
wlee@seoul.co.kr
2018-12-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